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ROM and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kills of Surya Namaskara in Vinyasa Yoga

요가 수르야 나마스카 동작의 숙련도 차이에 따른 ROM과 근활성도 비교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ange of motion (ROM) and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kills of Surya Namaskara in Vinyasa Yoga. Six females (skilled 2, unskilled 4)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 research factors were ROM and muscle activities for static poses on Surya Namaskara in Vinyasa Yoga. The six infrared cameras (Oqus 300, Qualisys Inc, Sweden) and Zero Wire EMG (Aurion, Italy) were used to acquire raw data, and the Qualisys Track Manager and Noraxon (MyoResearch XP Master Edition, USA) were used to process data. The %MVIC and ROM were analyzed with Visual 3D (C-Motion Inc, USA) and Noraxon. In conclusion, ROM and %MVIC between two groups were remarkabl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tic poses of Yoga, therefore instructors have to provide step-by-step information that was suitable to themselves (ROM and EMG of poses).

근간 요가열풍이 불면서 일반인들은 자신의 질환이나 신체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무리한 동작을 수행하여 심각한 부작용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빈야사 요가의 수르야 나마스카 동작들을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요가의 숙련도에 따른 ROM (Range Of Motion)과 %MVIC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관절의 유연성 및 근활성도를 규명하여 올바른 동작에 대한 이해와 함께 수련자들의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두 집단 간의 ROM과 %MWC는 요가동작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의자자세, 막대자세 및 전사자세는 정확한 지도가 필요한 동작들이다. 향후, 동작마다 숙련자와 비숙련자가 활성화되는 근육이 다르기 때문에 비숙련자에게 근육의 과용과 오용, 그리고 유연성 등의 문제로 인한 상해를 줄이기 위해 수련자에게 맞는 수준으로 수련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영(2006). 요가 운동이 어깨 근막동통증후군 환자의 근기능과 통증 및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 김광백(1983). 요가의 길. 아리오.
  3. 김창수, 김인옥, 윤택은(2008). 요가스탠다드. 청람.
  4. 김태홍, 김영구, 이장우(1984). 체력육성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5. 나웅칠(2007). 골프 스윙에 사용되는 근활성도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6. 박봉섭(2008). 12주간의 근력, 근력과 걷기, 근력과 요가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2(1), 53-65.
  7. 박장근, 임란희(2004). 12주 하타요가 수련이 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6), 959-966.
  8. 선종훈(2004). 청소년의 요가수행이 유연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9. 이승아(2006). 나디아의 현대 요가백서. 동양문고.
  10. 이정화(2006). 유아 요가명상이 신체 유연성 및 주의 집중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전영선(2003). 직장여성 ‘다이어트 요가’ 열풍, 문화일보.
  12. 정진하(2007). 요가, 자폐증 퇴치에도 ‘명약’, NEWSIS.
  13. Birkel D. A., & Edgren L.(2000).Hatha yoga: improved vital capacity of college students.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 6(6), 55-63.
  14. Brukner P. & Khan K.(1993). Clinical Sports Medicine. 1st Edition. McGraw-Hill Book Company. Sydney.
  15. Corliss R.(2001). The Power of Yoga, Time, 157(16), 54-62.
  16. Iyengar B. K. S.(1994). 요가 호흡 정석(문진희 역). 요가연구회.
  17. Iyengar B. K. S.(2007). Yoga Dipika. 요가디피카. 禪요가.
  18. Westwell, M., Bell K. & Punpuu S.(2006). Evaluation of lower extremity join moments experienced during several yoga postures. Gait & posture. 245. 213-215.
  19. Peter konrad(2005). The ABC of EMC : A Practical Introduction to Kinesiological Electromyography Version 10.
  20. Anderson, S. & Sovik R.(2000). Yoga-Mastering the basics. Himalayan.
  21. Sinha B., Ray U. S., Pathak A. & Selvamurthy W.(2004). Energy Cost and Cardiorespiratory changes during the Practice of Surya Namaskar. Indi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48(2), 184-190.

Cited by

  1. Change of Mechanical Energy before and after Training of Half Vinyasa Yoga - Energy Contribution of Body Segments and Correlation between Maximum COG and Segmental Energy - vol.23, pp.4, 2013, https://doi.org/10.5103/KJSB.2013.23.4.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