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ntal Dimension inherent in Jaebok Lee's poems - Self-ecstasy and Will for Absoluteness -

李在福 시의 정신차원 - 법열의 자아와 절대에의 의지 -

  • Published : 20090000

Abstract

Jaebok Lee's poems show a peculiar esthetical attribute based uponintellect and divinity. This peculiarity originates from his seeking forholist vilues continuously. In his poems It usually appears as the beautyof speculation or mediation on the basis of his higher mental dimension.That beauty originated from seeking for the subject and truth throughhis thought.However, he has not always regarded the meaning of poem-creationas the studies of ideal consciousness of beauty. Because he thought that'Sollen' was more important than 'Sein', and that practice moreimportant. It let us know where his mental attitude has been orientated.He practiced his morality, and served as the chief-leader of one sectionof Korean Buddhism. The concrete consideration of his poems let usknow that he also lived conflicting and distressing in his everyday life.Although he always dreamed the great freedom of emancipation, he alsosuffered from difficulties in everyday life. Especially the reality of thepeople in 1950s and 60s drove him to worry over the situation of hisage.In his poems the self is collective one as well as individual. Here'collective' means 'public', which is identified as 'Mahayana', that is,the reality of nation and nation-state in his time. With seeking foremancipation and Buddhist completion, at the same time, he alwaysworried about the natinal situation.In this point we could find the images of star and window in his poems. Those imply the meanings of hope, dream, truth or essence.Why was he interested in those images. Because he always dreamed ofthe higher world, which was identical with the world of transcendencyand emancipation. The world is deeply related to the spirit of greataffirmation which purpose to fe seek for the calm and peaceful life.

이재복의 시는 지성 및 영성에 기초한 차가운 관조를 통해 매우 독특한 심미적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그가 자신의 시에서 끊임없이 성스러운 가치를 추구해온 데서 기인한다. 그의 시의 이러한 면은 높은 정신차원을 바탕으로 하는 사색미나 명상미의 형태로 드러난다. 당연히 이는 깊은 사유를 토대로 주체와 사물의 진실을 탐구하는 데서 오는 아름다움을 가리킨다. 하지만 그가 이러한 형이상학적인 미의식을 탐구하는 것만으로 시작행위의 의의를 밝혀온 것은 아니다. 시를 통해 존재보다는 당위를, 진리보다는 실천을 좀 더 소중하게 여겨온 것이 그이기 때문이다. 존재나 진리보다 당위나 실천을 좀 더 소중히 여기는 것은 그 자체로 시인 이재복의 그의 정신지향이 어디에 있는가를 말해준다. 교육자로서, 태고종의 대종사로서 사회적 실천을 아끼지 않았던 것이 그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실제의 시를 살펴보면 그 역시 구체적인 일상에서는 갈등하고 고뇌하는 삶을 살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해탈의 대자유를 꿈꾸어 온 그에게도 나날의 일상은 힘들고 괴롭게 존재해왔다는 뜻이다. 따라서 그가 해탈의 대자유에 이르기까지는 적잖은 우회로를 거쳐 왔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에게 갈등하고 고뇌하는 정신을 갖게 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그가 가장 왕성하게 시작활동을 하던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민족ㆍ민중의 현실이다. 그의 시의 자아는 개인적이기도 하지만 집단적이기도 하다. 집단적이라는 것은 사적이지 않고 공적이라는 뜻이다. 공적이라는 것은 소승적이지 않고 대승적이라는 뜻이다. 대승적이라는 것은 그의 시의 자아가 고통스러운 민족현실에 깊이 맞닿아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해탈과 성불을 꿈꾸면서도 끊임없이 당대의 민족현실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한 걱정과 근심을 거두지 않았던 것이 그이다. 이와 관련해 그의 시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별과 창이다. 별과 창의 이미지는 희망, 꿈, 진실(道), 존재(본질) 등의 의미를 내포한다. 이들 이미지에 마음을 두는 것은 그가 꿈을 꾸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꿈을 꾸는 사람이라는 것은 그가 좀 더 높고 귀한 세계에 이르려고 하는 열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좀 더 높고 귀한 세계는 초월과 해탈의 세계를 가리킨다. 초월과 해탈의 세계는 대긍정의 정신과도 무관하지 않다. 대긍정의 정신은 참된 고요와 평화를 깨닫고 실천하는 삶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