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후기의 대화구성법 시조 -『남훈태평가』가집을 중심으로 -

‘Dialogical form Sijo’ of Late Joseon - on the Example of『Namhun Taepyeong-ga』Poetical Anthology -

  • 아나스타시아구리예바 (러시아쌍뜨 뻬쩨르부르그대학교)
  • Guryeva, Anastasia A. (Russia Saint Petersburg Universitetskaya)
  • 발행 : 20090000

초록

조선후기는 고전 문학 시가나 산문 장르 모두 변화를 겪고 조선후기는 기존 장르의 전통 범위 내에서 새로운 형식의 작품이 도입되는 시기였다. 이 시기 때 전통을 보관하기 위해 고전작품들을 수집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서 시집/가집(詩集/歌集)들이 발생하고 유행하였다. 그 중에 서민층까지 넒은 독자층을 가진 편자 미상의『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가 있다 (1863). 당대 한국에서 인기를 얻을 뿐만 아니라 외국(영국, 프랑스, 러시아, 캐나다, 일본 등) 사람들도 남태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 예를 들어 러시아에서 러시아재정부 의해 1900년에 출판된 3권의『한국지』에서 한국시가를『남훈태평가』에 실려 있는 시 한 편의 번역문을 통해 소개한다. 러시아 학술 아카데미 (과학원) 소속 동양고문서연구소에 아스톤 문고에서『남훈태평가』가 소장되어있다. 본 논문을 이 문고 소장본『남훈태평가』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쓰고자 한다. 산업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남훈태평가』는 대다수의 독자를 끌어 모으기 위해 당시 가장 인기가 높은 작품으로 구성되었고 텍스트들 중에 작가미상의 시조이다. 그 중에 화자의 말에 상대방 (전문분야를 대표하는 어부, 초부나 포수 새 ‘동자’/’아희’)이 대답을 함으로 완성된 대화가 만들어진 형식의 시조 텍스트가 있다. 이런 텍스트를 이 논문에서 ‘대화구성법’이나 ‘대화법’의 시조라고 하기로 한다. 대화법 시조 텍스트를 통해서 조선후기의 시조에서의 형상체계의 변화 일면을 살펴본다. 소개하는 대화법 시조는 시조번성시대의 작품들의 전형성(典型性)에서 다소 어긋난다. 측, 전통적으로 문학에서 凡한 성격을 가졌던 직업의 인물들은 중요한 지식이 넒은 인물로 나오고 모습이나 ‘기능’이 특정했던 새의 묘사가 달라지며 구별이 분명했던 ‘동자’와 ‘아희’의 서술이 혼동되는 편이다. 언급한 변화들은 조선후기 작품세계의 변전으로 볼 수 있고 시조의 수요층의 확대에 따른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서민이 시조작품세계에 등장하며, 중요시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 사람 주위에 있는 대상들도 전통적인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었던 점 대신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듯이 자연스러운 모습이 강해진다. 위에 살펴본 텍스트들은 작가나 연대 미상이기는 해도 조선후기의 문화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텍스트들이 들어가는『남훈태평가』가 19세기 중엽에 인기를 얻어 널리 보급된 가집으로서, 당대 독자들의 취향을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대화법의 구성되었다는 사실 자체가 시조가 일상생활 영역을 드러내 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형상 체계에 대한 변화양상들은 시조문학 속에서의 새로운 점들을 보여주며, 한국문학사 변천 과정의 하나의 중요한 과정을 나타낸다.

Late Joseon is a period of poetical and prosaic literature genrestransformation and formation of new tendencieswithin traditional genresframework.. At the same time it became the time of poetical anthologiesdissemination aiming at preserving the tradition.『Namhun Taepyeong-ga』anthology (1863) which was popular among wide readers populationserves a bright example of this processes. It was republished in Koreaseveral times in the middle of the 19thcent. and in the beginning of the20thcentury when it attracted attention of westerners as a representativeanthology of the time. For instance, a part of the text from『NT』in『Description of Korea』published by Russian Ministry of Finance in1900 is used for illustrating traditional Korean poetry. One of the『NT』variants is preserved at the Institute of Oriental Manuscripts, RussianAcademy of Sciences. (Saint Petersburg, Russia) as a part of a Britishconsul in Korea W.G. Aston’s collection. This『NT』edition will be usedfor this paper.Most of the texts in『NT』- an anthology which was edited forcommercial purpose - are the most popular texts of the period, and thelarge number of them is ‘dialogical form’sijo by unknown authors. Theymay be group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haracter a narratoraddresses: a dialogue with a professional sphere representative (afisherman, a wood-cutter, a hunter), dialogue with a bird, dialogue witha ‘donja’/an ‘ahi’(terms are explained in the text). In each group we mayfind a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description of the mentionedcharacters. Thus, professionals that traditionally represented profaneworld who do not understanding real values and can make harm aredepicted as informed and ‘getting to the point’. The bird images differwith that of a formed tradition and their relation with traditionalsymbolic meaning is not obviously traced. As for the images of a‘donja’/an ‘ahi’ that traditionally were differentiated as a servant and an immortal youngster are ‘mixed’ in this group of the texts.All of the analyzed texts have a similar structure: a narrator addresseshiscounter-part with a question or a request and receives an answer. Acounter-part is not one of people the narrator is acquainted with or aperson of a certain name or status, but a narrator talks to anyrepresentative of a group: professional group, birds or immortals.It is their function that is important for a narrator. This functionrelated to tradition but is somewhat changed. All of the above may beexplained by the influence of such aspect as sijo dissemination amongordinary people (as readers as well as authors). Ordinary people becomecharacters in sijo. The depicted images tend to be used not through theiroriginal symbolic meaning but in an every-day setting.All of the viewed texts are by an unknown author and of an unknowntime, but they belong to late Joseon culture.『NT』is an anthology whichgained its popularity in the 19thcentury and shows the tastes of readersof that time. A suggestion may be made that the dialogical form itself isa result of sijo literature entering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Theabove-mentioned changes show the new tendencies in the sijo genreframe-work andturn out to be a part of general process of Koreanliterature transformation that the period of Late Joseon was marked b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