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Hedging Effectiveness for Currency Futures Markets : Emerging Currency versus Advanced Currency

통화선물시장의 헤징유효성 비교 : 신흥통화 대 선진통화

  • Kang, Seok-Kyu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8.07.24
  • Accepted : 2009.04.06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stimate and compare hedging effectiveness in emerging currency and advanced currency futures markets. Emerging currency futures includes Korea won, Mexico peso, and Brazil real and advanced currency futures is Europe euro, British pound, and Japan yen. Hedging effectiveness is measured by comparing hedging performance of the naive hedge model, OLS model, error correction model and constant condintional correlation bivariate GARCH(1, 1) hedge model based on rolling windows. Analysis data is used daily spot and futures rates from January, 2, 2001 to March. 10, 2006.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rrespective of hedging period and model, hedging using Korea won/dollar futures reduces spot rate's volatility risk by 97%. Second, Korea won/dollar futures market produces the best hedging performance in emerging and advanced currency futures markets, i.e. Mexico peso, Brazil real, Europe euro, British pound, and Japan yen. Third, there are no difference of hedging effectiveness among hedging model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원화, 멕시코의 페소화, 브라질의 리알화 등 신흥 통화선물시장과 유럽의 유로화, 일본의 엔화, 영국의 파운드화 등 선진 통화선물시장을 대상으로 최적헤지비율을 추정하고, 외표본헤지기간을 두고 헤징유효성을 측정 및 비교하고자 하였다. 헤지비율은 모수의 추정기간을 한기간씩 이동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롤링 윈도우즈(rolling windows)에 따른 OLS 모형, 오차수정모형과 일정 조건부 상관관계 이변량 GARCH(1, 1) 모형에 의해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일별, 주별, 월별 등 헤징기간에 관계없이 어떠한 헤징모형을 이용하더라도 한국 원/달러 선물을 이용한 헤징은 현물환율의 가격변동위험을 97% 상회할 정도로 감소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일별, 주별, 월별 등 헤징기간에 관계없이 한국 원화 선물시장은 브라질 리알화, 멕시코 페소화 등 신흥통화 선물시장과 유럽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 일본 엔화 등의 선진통화 선물시장보다 현물환율의 변동위험에 대한 헤징수단으로 우월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한국 원/달러 통화선물이 현물환율의 위험관리수단으로 유용성이 매우 높고 위험관리도구로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헤징모형 간의 헤징유효성을 비교하면, 신흥통화와 선진통화에 관계없이 최적헤지 비율의 추정에 이용된 단순모형, OLS 모형, 오차수정모형, 그리고 CCC BGARCH(1, 1) 모형에 따른 헤징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OLS 모형, 오차 수정모형, 이변량 GARCH(1, 1) 모형 등의 복잡한 계량모델을 이용한 헤징보다 단순히 현물보유 포지션과 반대되는 동일한 금액의 포지션을 선물시장에 취하는 단순모형을 이용한 헤징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신흥통화와 선진통화에 관계없이 헤징기간이 늘어날수록 헤징유효성 또는 헤징성과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