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Analysis of Container Crane Operators by the DACUM Method

데이컴 방법에 의한 컨테이너크레인 운전자 직무분석

  • 배석태 (동명대학교 항만물류학부 항만물류시스템)
  • Received : 2009.10.25
  • Accepted : 2009.12.0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re have been problems regarding decreased productivity and inherent safety risks due to apprentice facility operators receiving training without a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especially for container crane operator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lternatives to educate and manage container crane operators systematically in accordance with a job analysis. The Job analysis was professional panels and a Developing A Curriculum(DACUM) facilitator. The job description on the DACUM research chart for container crane operators contained 6 duties and 42 tasks. We surveyed problems with the existing education process for container crane operators; performed job analysis according to DACUM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finally developed job description, education courseware and a summary table.

기존의 항만에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크레인 운전자 교육은 표준화된 교육방식 없이 장비 기사간의 도제식 교육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항만의 생산성 저하와 항만 내 안전사고의 문제점에 노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크레인 운전자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운영인력을 육성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컨테이너크레인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컴(DACUM) 방법에 따른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직무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컨테이너크레인 운전자 직무분석 결과 총 6개의 책무와 각 책무를 구성하는 43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현장 맞춤형 교육 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육 요구도 분석을 하였다. 각 작업에 대해 중요도와 난이도 및 수행 빈도를 조사하고 입직 초기에 갖추어야 할 핵심 작업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직무분석 결과를 구조화하고 체계화하여 컨테이너크레인 운전자 직무분야에 대한 직무모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용석 외 3인, "고효율 컨테이너 크레인의 개념 모델 및 적용 효과 분석", "해양정책연구" 제22권, 제2호, 2007, pp. 4-12.
  2.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6188902h&intype=1
  3. 손애휘 "수요지향적 항만물류전문인력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대학의 역할 - 부산지역 대 학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집, 제1호, 2005, pp. 96-102.
  4. 한국산업안전공단 항만하역분야 안전기준 마련 연구 - 일반(비전용선)작업, 컨테이너 전용선작업, 컨테이너터미널작업, 2007, pp. 2-8.
  5. 서창교 외 1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pp. 7-8.
  6. W. B. Castetter, The Personnel Func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6.
  7. Cascio, W. F.(1987), Applied Psychology in Personnel Management, Prentice-Hall, Inc.
  8. 이용순 외 2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pp. 8-9.
  9. 주인중 외 3인,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pp. 7-8.
  10. 박성종 Duty, Task, Step 분석을 통한 전기 컴퓨터 분야의 DACUM 활용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연구 제6권 2호, 2003.
  11. 송화선 "DACUM 기법에 의한 영상편집자의 직무분석",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2. 2007, pp. 96-99.
  12. 채종화, "직무분석에 의한 전문대학의 물류전공교육과정 연구", 한국세무회계학회, 2009, pp. 82-83.
  13. 부산신항만주식회사,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실무, 2006, pp. 31.
  14. 최상희, 탠덤(Tandem) 컨테이너크레인의 도입에 따른 터미널 적용 방안 분석, 해양물류연구 , 2009.7, pp. 69-72.
  15.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0811/e2008110317204393760.htm
  16. Norton, R.E DACUM Handbook, 2nded. The Ohio State.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