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ain Status of Environment Logistics and Expansion Strategy in Korea

환경물류의 주요 실태와 우리나라에서의 확대 전략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10.25
  • Accepted : 2009.11.29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value of Environment is so high and important that no one can estimate it correctly. In the area of Logistics, Environment protection is very important and keen subject for the present and for the future of this country and people. Environmental logistics, similarly used as Green logistics, means the protection of Nature and Environment and reduces all kinds of factors and behaviors that may destroy and deteriorate current Environment. It also include the preservation of Na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logistics aims to save natural resources and to promote reuse of all kinds of materials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substitute goods. In this paper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logistics were summarized and described. Also the main previous studies were surveyed. Some of important cases and experiences which were introduced and applied in major countries such as Japan, Hongkong, USA and the case of PHILIPS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With these cases and analysis, this paper suggested some alternatives and counter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logistics in terms of 3 dimensions such as Country, Company and Individual level. And a strategy model for enhancement of the Environmental logistics was suggested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escribed.

환경의 가치는 매우 높고 중요해서 누구도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 물류영역에서 환경보호는 매우 중요하며 이 나라와 국민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민감한 주제이다. 환경물류는 환경물류와 유사하게 쓰이는 데 자연과 환경의 보호를 의미하며, 현재의 환경을 파괴하거나 악화시키는 모든 유형의 요인과 활동들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자연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내포한다. 환경물류는 자연자원을 절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모든 유형의 자원의 재활용을 권장하며, 환경 친화적 대체재의 활용을 증대시키려는 것을 지향한다. 본고에서는 환경물류의 개념과 특성을 요약, 서술하였다. 그리고 주요 선행연구들을 조사, 검토하였다. 일본, 홍콩, 미국 등 주요국과 그리고 필립스의 사례 등에서 도입되고 적용하고 있는 중요한 사례와 경험들이 요약되고 분석되었다. 이런 사례와 분석들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 기업, 개인(소비자)의 3차원에서 한경물류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과 대응전략들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환경물류의 향상을 위한 전략모델이 제안되었으며, 논문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이 설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광양시, 광양시, 광양항 Report, 통권 제66호, 2008. 11.
  2. 구본환, "지속가능한 교통물류발전법의 제정 필요성과 주요 내용", 월간 교통, 제123 호, 교통연구원, 2008. 5.
  3. 김범중 외, "세계물류환경변화와대응방안 V", KMI, 2008.
  4. 김우선, 우리나라 항만의 대기오염 및 에너지비용 절감정책 필요, 해양수산동향, 제1215호, 2006. 4.
  5. 김홍섭, "환경물류의 필요성", 오마이뉴스, 2008.10.16.
  6. 박석하.박정섭,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2006.
  7. 송계의, 한철환, "항만의 환경오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1호, 2007.
  8. 송만순, "환경친화적인 항만개발 정책", 한국지반환경공학회, 창립기념논문집, 2000.9.
  9. 예충렬.윤종진, 일본의 친환경물류 정책 현황과 시사점, 한국교통연구원, 2008.
  10. 이성우, "우리나라 녹색성장전략과 연계한 광양항 Green Eco-port 조성전략", 광양항 Green Eco-port 조성 대토론회 논문집, 광양항활성화 시민행동.광양자치포럼(사), 월드마린센터 국제회의장, 2009.5.
  11. 임진수, 김태일, 글로벌 해운환경변화와 해운조선 연계발전 방향, KMI, 2005.12.
  12. 전형진.고현정, 국가 친환경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Modal Shift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2008-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12.
  13. 정헌배.이일한, 기업의 환경물류 실행에 관한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05.
  14. 정봉현, 녹색성장과 친환경적 항만관리정책의 방향, 해양물류연구, KMI, 2009.7.
  15. 정현, "항만에서의 환경오염과 환경친화적 항만 "그린 포트"의 건설", 기술사, 제31권, 제3호, 한국기술사회, 1998.
  16. 한국교통연구원, 기후변화협약 대비 교통부문 온실가스 저감정책의 효과분석: 1단계, 2005.
  17. 한국교통연구원, 월간교통, 통권 제23호, 2008.5.
  18.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KMI브리핑, 제147호, 제151호 2008.
  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구촌 해양수산, 제399호, 2007.12.18.
  20. 宮澤康一, 運輸部門の地球溫暖化對策, 運輸と經濟, 2008.1.
  21. Diane Bailey, Gina Solomon, 2004, Pollution prevention at port cleaning the air, 2004
  22. Peter Mollema, "Incentives for clean shipping", 2008.
  23. UN, 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Dec, 1997.
  24. http://www.philip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