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f Fashion Retail Management Curriculum - 4-year Colleges in Korea and the USA -

패션 소매 경영과정을 위한 교과과정 연구 - 한국과 미국 대학교를 중심으로 -

  • 정현주 (동의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urricula majored in fashion retail related area at 4-year colleges in Korea and the USA. Courses were divided into 15 elements including basics, design, production, textile, marketing, industry, merchandise planning, promotion, consumer behaviour, management, business, organization, internship and etc..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Most of 'industry' related majors in Korea consisted of fashion manufacture-oriented curricula elements including design, pattern making, tailoring, draping and textile sciences. 2. Fashion Marketing major stressed on a merchandising element and a marketing one, and the Fashion major focused on the promotion element and the merchandising element as well. However, the retail element was less focused than other elements in the Korean colleges. 3. Fashion Retail related majors in the USA College were likely to focus on the practical fashion retail management elements including retail, marketing, management, business, organization behavior and internship specialized by the major. The different curricula between two countries were clearly existed in terms of the major nam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ourse element. The results made in the research would be applied with some modification or adjustments in the fashion retail oriented curricula in order to produce the competitive retail human resource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숫자로 본 경제: 한국의 임금, 1인당 GDP의 1.77배", (2008, 05), 월간경영계, p.5
  2. 조규화(1997), "한국패션산업의 인재육성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1), pp.27-42
  3. 구동민(2008. 11. 29), '성공 브랜드 분석 및 향후 성공 가능성 브랜드 분석' 한국패션비즈니스학과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4-43
  4. Suh, John (1998), "The Distribution System in the American Fashion Industry", 패션비즈니스, 2(3), pp.23-30
  5. "롯데 백화점 본점 가을 매장 개편 수입브랜드, NPB, 편집매장 확대"(2008, 10), 월간 유통저널, 245, pp.98-99
  6. 한국섬유산업연합회(편)(2006), 섬유패션산업구조혁신전략 , p.64
  7. 이선효 (2008. 11. 29), "Global SPA브랜드 한국 진출현황",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6-23
  8. "글로벌 SPA 브랜드 시장 장악력 확대 등2008년 패션유통 HOT ISSUE 10", (2008, 12), Fashionbiz, 260, p. 126
  9. 이호정 . 강경영 (2004), 패션리테일링, 교문사, pp.352-353
  10. Wolken, W.S.·Good, L. K. (1995), 'The Retail Environment: Relationship of Tension and Social Suppor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4), pp.280-288 https://doi.org/10.1177/0887302X9501300409
  11. 전혜정 (2000), "패션 머천다이징 교육 방향", 패션비즈니스, 4(1), pp.87-96
  12. 이규혜 . Leslie Stoel (2006), "A Study of Student Perspectives on Web-Based Learning Technology in Merchandising Courses", 한국 의류학회지, 30(12), p.1788-1799
  13. 구양숙 外(1999), "4년제 대학의 패션관련학과 교과과정 비교 분석:한국, 미국, 영국, 일본, 홍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11), pp.19-32
  14. 이윤정 (2002), "한국과 미국의 패션마케팅 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6(5), pp.727-736
  15. 이윤정 (2003), "한국과 미국의 패션마케팅 교육의 성공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7(2), pp.169-176
  16. 山村貴敬 (2000), "패션비즈니스 교육의 현황과 전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3), pp.185-190
  17. 이승희 . 박수경 (2007), "글로벌 패션마케팅 전문인력 양성 방안 모색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3), pp.420-432
  18. Laughlin, J.· Kean, R. C. (1995), "Assessment of Textiles and Clothing Academic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3), pp.184-199 https://doi.org/10.1177/0887302X9501300305
  19. 김효은 . 구경모 (2003), "전문대학 패션디자인과의 유통업체 위탁 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5(19), pp.97-107
  20. 김효은 (2006), "패션디자인과의 패션유통업체위탁교육 활성화 방안", 패션비즈니스, 10(5), pp.74-92
  21. 이유리 . 이미영 (2007), "패션마케팅 분야의 4년제 대학 교육과정과 복식지 연구동향 비교", 복식, 57(5), pp.123-139
  22. 이유리 . 이미영 (2007), "패션마케팅 분야의 4년제 대학 교육과정과 복식지 연구동향 비교", 복식, 57(5), pp.123-139
  23. ITAA Membership Directory (International Textile Apparel Association, 2006), pp.35-50
  24. 구양숙 外(1999), "4년제 대학의 패션관련학과 교과과정 비교 분석:한국, 미국, 영국, 일본, 홍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11), pp.19-32
  25. 이유리 . 이미영, op.cit., pp.123-139
  26. 구양숙 外(1999), "4년제 대학의 패션관련학과 교과과정 비교 분석:한국, 미국, 영국, 일본, 홍콩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11), pp.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