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rituality and Social Work Scholarship in Korea - A Content Analysis -

한국에서의 Spirituality와 사회사업에 대한 연구 동향과 전망

  • Kim, Kyung-Mee (Soongsil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 Canda, Edward R. (University of Kansas, School of Social Work)
  • Received : 2009.04.30
  • Accepted : 2009.05.29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re are emerging international trends in social work scholarship toward increasing attention to spirituality in research and publications. However, little has been published about this beyond the North American and European contexts.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s the state of the art scholarly social work publications in an East Asian country, the Republic of Korea. First, a brief overview is given of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connections between spirituality and religions with social work in Korea. Then, results of a content analysis of Korean academic journal articles are presented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art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work, includ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The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is relatively little empirical work in this area, although it has grown in recent years. Most of the empirical research is based on simple statistical methods while systematic qualitative studies are lacking. Conceptual work provides guidelines for various religious specific approaches to social work; development of approaches that are inclusive of diverse religious and nonreligious spiritual perspectives is just beginning. However, there are indications of the potential for a significant increase of scholarly work on spirituality and social work.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could facilitate this.

국제적으로 사회사업 분야의 연구와 논문 출간에 있어서 spiritualit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북미와 유럽의 맥락을 넘어서 이러한 경향에 관해 소개하고 분석하는 논문이 쓰여진 바는 거의 없다. 이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동아시아 국가의 하나인 대한민국에서의 사회사업 분야 연구 논문 출간의 실태에 대해 연구한다. 먼저, 한국에서 spirituality 및 종교와 사회사업간의 연관관계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간략하게 개관한다. 그 다음에, 현재의 실태를 보여주고 국제적 협동연구를 비롯한 더 진전된 작업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의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에 대해 내용분석을 한 결과들을 제시한다. 이 내용분석은 최근 수년간 이 분야의 연구가 성장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의 경험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들이 단순한 통계 방법에 기초하고 있고 체계적인 질적 연구가 결여되어 있다. 개념적 작업은 사회사업에 대한 종교적으로 특정화된 다양한 접근들을 위한 지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다양한 종교적 혹은 비종교적인 spiritual 전망을 포함(포괄)하는 접근들은 이제 막 발전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렇지만 spirituality와 사회사업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유의미하게 증가할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존재한다. 국제적 협동 연구는 이를 촉진해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숭실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지원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