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on Older Adults'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 A Medi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장애노인의 장애특성이 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김동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채수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 박은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05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focus on how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changes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various leisure activities between the characteristic of disability and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2005 survey of the disabled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hich studied 1,241 seniors over 65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disability, duration of disability, and IADL are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 of disability and individual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Second, the type of leisure activities wa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sability. Especially, the degree of IAD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hoosing the type of leisure. Third, leisure activities with specific purposes, such as amusement and self-development, have only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 of disability and individual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장애특성이 개인적 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대상자 중 여가생활을 하는 65세 이상의 신체장애노인 1,24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특성과 개인적 차별인식의 관계에서 장애유형, 장애발생시점, IADL이 영향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장애특성과 여가유형과의 관계에서, 장애특성 중 IADL이 영향요인이었다. 셋째, 장애노인의 장애특성이 개인적 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여가유형이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차별인식 경감을 위해 여가활동에 대한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여가라는 개인적 욕구와 차별이라는 사회적 이슈를 함께 고려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찾는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