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on directions of immigr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human resources in health and medical professions

보건의료 전문 인력 수급실태 분석을 통한 이민정책

  • 안상윤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
  • 김광환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is research is based upon the nursing statistical data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Nursing Policy in 2007, on behalf of Korea nursing association. We analyzed the problems on the healthcare human resources supply in Korea. We suggest that a solution is to adopt immigration policy for foreign workforce employment.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more than 1,000 nurses are registrated every year except for 2004, according to the yearly status of healthcare jobs. The variance of doctors' registration was quite significant. Compared to 750 registrations in 2004, 4000 doctors were registered in 2002. The healthcare accounts for the property of citizens in terms, which represents the health and lives of everyone, so the country must take all measures to supply the healthcare services in need. Focusing on the underdeveloped region where it is difficult to approach the medical services, the foreign workforce could be added into the healthcare profession field. We conclude that employing foreign healthcare professional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ives in those people living in underdeveloped region, as well as unity of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2007년 대한간호협회 간호정책연구소에서 발간한 간호통계연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보건의료 전문 인력의 수급실태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외국인 전문 인력의 이민정책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도별 보건의료인력 면허등록 현황 중, 간호사 등록현황을 보면 2004년을 제외하고 매년 1,000명 이상씩 더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는 2002년에 4,000명 대로 등록된 반면 2004년도는 750명으로 그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보건의료는 국민의 건강 및 생명 유지를 통하여 노동력을 담보할 수 있는 기간재이기 때문에 국가는 기본적으로 모든 국민들이 보건의료 서비스를 공급받는데 지장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갖는다. 때문에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낙후 지역을 중심으로 선진국의 사례를 모범으로 삼아 외국인 보건의료 전문 인력을 유치하여 활용하는 것은 낙후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의 향상시키고 지역적 통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곤(2006)의료인력 자격 상호인정을 위한 정책방향; 한미 면허관리체계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대한간호협회 정책연구소(2007), 간호통계연보.
  3. 문상식(2006), 보건행정학, 보문각.
  4. 문상식 외(2007), 병원경영학, 서울 : 보문각, p. 13.
  5. 병원신문, 2008. 4. 10일자.
  6. 보건복지부(2006), 보건복지통계연보, 1985-2005.
  7. 송영관(2005), "보건의료서비스시장 개방과 주요 쟁점의 이해". 오늘의 세계경제, 제05-16호.
  8. 송정국(2004), Human Resources for Health: overcoming the crisis, Lancet, 364, pp.1984-1990. https://doi.org/10.1016/S0140-6736(04)17482-5
  9. 이규홍(2005), 우리나라 이민정책의 개선방향, 법조 Vol. 580, pp. 217-254.
  10. 이덕기(1999), 예측방법의 이해, SPSS 아카데미 교재시리즈.
  11. 이혜경(2008), "한국 이민정책의 수렴현상-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한국사회학, 제42집2호, pp. 104-137.
  12. 정영호, 고숙자(2005), "WTO/DDA 보건의료서비스부문의 협상쟁점 및 영향력 고찰",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2호, pp 108-139.
  13. 정용찬, 정병철, 김기환, 강현철(1999), 시계열자료분석의 첫걸음. 정일출판사.
  14. 청년의사, 2008. 11. 10일자, 12면.
  15. 최인길, 남은우, 권경희, 박영달(1996), 의료시장 개방에 따른 의료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AMA(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6.
  17. OECD(2007), Health Data 2005.
  18. Nancy Borkowski(2005), Organizational Behavior in Health Care, Jones and Bartlett, pp.16-18.
  19. Stephen M. Shortell & Arnold D. Kaluzny(2006), Hospital Management; Organization Design and Behavior, 5th ed., Thomson, pp. 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