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 of the Growth and Root Development of Shade Landscape Plants by Slit Ventilation Treatment into Indoor Container

실내용기 내 슬릿(Slit)처리가 내음성 조경식물의 생육과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acilitate various new technologies related to indoor containers and develop a desirable planting environment after investigating the growth (including root growth) of shade-tolerant landscape plants under slit processing, a natural indoor ventilation syst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terms of the shoot growth of Fatsia japonica in a slit container, no distinctive difference was obser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growth was good when the container 250mm tall or taller.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optical soil depth is more important than slit processing in shoot growth of Fatsia japonica. In Fatsia japonica root length was observed as follows: Control 2(250mm) > Slit 2(250mm) > Control 1(195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 The largest growth was observed in Control 2(250mm), which had no slit processing. In term of root width, this was lower than the initial value in all groups, which means that the root grew vertically, not horizontally. In terms of plant height of Ophiopogon japonicus, a gradual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at had no slit processing. No significant growth was detected in the slit system, however. In terms of shoot number, slit container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fresh and dry weights, on the contrary, slit containers were mos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Ophiopogon japonicus, root length was observed as follows: Slit 2(25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3(360mm) > Slit 3(360mm) > Control 1(195mm). In Ardisia japonica, slit containers were mostly greater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plant height. The greatest plant height was observed at Slit 2(250mm) instead of Slit 1(195mm) and Slit 3(360mm). Except for plant height and shoot number, however, no significant shoot and root growth was observed. Root length was observed as follows: Slit 2(250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1(195mm). Therefore, root length in slit containers was mostly great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width of root, however, declined in general.

본 연구는 실내용기 내 자연환기처리인 슬릿(Slit)에 대한 내음성 조경식물의 생육반응과 뿌리발달을 살펴봄으로써 실내용기에 대한 다양한 신기술을 활성화키고, 용기 내 바람직한 식재환경을 조성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슬릿처리 실내용기에 따른 팔손이의 지상부 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용기높이가 250mm이상에서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 슬릿처리보다는 적정 토심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팔손이의 근장은 Control 2(250mm) > Slit 2(250mm) > Control 1(195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의 순으로 슬릿처리가 없었던 Control 2에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나타내었다. 근폭은 모든 처리에서 초기값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뿌리 발달이 횡적이기 보다는 종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엽맥문동의 초장은 슬릿처리가 없었던 대조구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슬릿처리에서는 확연한 생장을 보이지 않았다. 신초수는 슬릿처리 실내 용기들이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낸 반면, 생체중과 건조중은 대조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소엽맥문동의 근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Slit 2(25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3(360mm) > Slit 3(360mm) > Control 1(195mm) 순으로 나타났다. 자금우는 대체적으로 대조구보다는 슬릿처리 실내용기에서 초장이 높았고, 특히 Slit 2(250mm)에서 Slit 1(195mm)이나 Slit 3(360mm)보다 초장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장과 신초수를 제외하고 지상부와 뿌리발달은 슬릿처리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장은 Slit 2(250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1(195mm)의 순으로 슬릿처리 실내용기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반면, 근폭은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덕기, 박연일, 진창덕, 전성수, 홍영남 역(2001) 식물생리학. Hopkins, W.G., Introduction to Plant Physiology. 서울: 을유문화사.
  2. 김강민, 이병철, 한인우, 윤태석(2003) 보현산 천문대 긴 슬릿분광기의 특성과 성능 분석. 한국천문학회지. 18(1): 81-86
  3. 김미애(2001) 아파트 실내조경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4. 김선혜, 방광자(2001) 아파트발코니 간이화단 녹지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실내조경협회학술지 3(1): 3-8
  5. 김성만, 이충열, 김용철, 최인수, 민경갑, 성재덕(2007) 유기질 비료의 사용에 따른 맥문동 생육 및 수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5(3): 148-151
  6. 김태진, 김학범(2001) 컨테이너에서 재배된 백목련과 자귀나무의 이식전후 생장률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5): 92-100
  7. 서전규, 이은주, 이현지, 이선주(2005) 용기 및 육묘장소가 양파 생육 및 자구 크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기술지 23(1): 52
  8. 신용습, 연일권, 최진국, 최부술(2000) 시설내 공기순환이 참외 발효와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춘계발표요지 18(2): 71
  9. 연수민, 김희은(2005) 스포츠 웨어의 슬릿 벤틸레이션 시스템이 인체생리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1): 1-6
  10. 윤택승, 임지영, 김종진(2005) 용기의 형태와 용적에 따른 찰피나무 유묘의 생장.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지 14(4): 239-244
  11. 윤평섭(2001) 한국의 현대 건축물 환경을 위한 컨테이너의 형태와 색채, 재질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조경협회학술지 3(2): 13-29
  12. 이정식, 장윤진, 문채윤, 이성춘, 김귀순, 김유신(2005) 분화용 철쭉류 신품종의 플러그 삽목번식을 위한 배지 및 용기 구명. 한국원예기술지 23(2): 63
  13. 이종석, 방광자. 김순자(2005) 신실내조경학. 도서출판조경
  14. 장광진(2000) 알기 쉬운 약·특작 생산기술. 서울: 진솔출판사
  15. 조경숙, 김선국, 최경주, 서정근(2003a) 클레로덴드럼 단기 소형 분화생산 시 삽수길이, 용기크기 및 다양한 저면관비방법이 발근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기술지 21(1): 71
  16. 조경숙, 김홍재, 나택상, 조명수(2003b) 디펜바키아 마리안느의 삽수부위, 배지종류, 피복방법 및 저면관수 방법별 용기크기가 분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기술지 21(1): 72
  17. 주진희, 방광자(2008) 실내용기 슬릿환기 시스템이 자생 넉줄고사리와 송악의 생육과 뿌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30(8): 59-64
  18. 최상설(2007) 아파트 발코니 실내조경의 모듈시스템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최소라, 김명준, 은종선, 안민실, 임희춘, 류정(2005) 배양용기내 환기 와 광도에 따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기내 배양묘의 생장반응. 식물생명공학회지 32(2): 23-29
  20. 황주희, 김도한, 박중춘, 허무룡(2006) 미나리 재배를 위한 가정 원예용 용기셋트 개발. 농업생명과학 연구 40(2): 33-40
  21. Appleton, B.L.(1994) Elimination of circling tree roots during nursery production, the Landscape Below Ground, Proceeding of an Int. Workshop on Tree Root Development in Urban Soil. The Int. Soc. of Arboriculture. pp. 93-97
  22. Cannell, R.Q.(1977) Soil aeration and compaction in relation to root growth and soil management. Appl. Biol. 2: 1-86 https://doi.org/10.1111/j.1744-7348.1915.tb05424.x
  23. http://www.encyber.com/index.html(2009년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