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ditionary Famous Scenaries of Jeju-island through T'amna-Sipkyung and T'amna-Sullyokto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 승경의 전통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Shin, Byung-Chul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Joongbu University) ;
  • Han, Sang-Yub (Human Capital and Resource Development Environment Center,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신병철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한상엽 (우석대학교 자원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look at the identity of the traditional famous sceneries of Jeju Islan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eoung Ju-Sipikyung(瀛州十二景)',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beautiful scenes of Jeju Island, and two paintings 'T'amna-Sipkyungtdo(耽羅十景圖)' and 'T'amna-Sullyokto(耽羅巡歷圖)' by a grasp of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se two painting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e 'T'amna-Sipkyung', which is the origin of today's 12 beautiful sceneries of Jeju Island, Baekrokdam and Youngsil are both symbolic places and the backdrops against which Jeju's myths were formed. Jocheonjin, Seogwijin and Myoungwoljin, located near the seashores, are strategic footholds in protecting the territory of the island and connotatively contain its culture and history. Seongsan Ilchulbong, Sanbangsan, Chwibyeongdam and Cheonjeyeon Pokpo are not only the quintessentially beautiful scenes of Jeju but also belong to 'YeoungJu-Sipikyung'. And 'T'amna-Sullyokto', which describes the Jeju horses and tangerines that were presented to the king as tribute, offers scenic elements with a strong political tone and is related to the five scene of 'T'amna-Sullyokto', showing that 'defense' and 'tribute' are motives in choosing the sceneries of people's daily lives here. Jeju's daily scenes in particular have been continuously transmitted: 'Idyllic lives with the background of a tangerine orchard' are shown in 'Kowon Panggo' and 'Kyullim P'ungak', and Jeju horses grazing on pastures or being ridden in hunting trips are presented in 'Sanjang Kuma' and 'Kyorae Taeryop'. Besides Baekrokdam and Youngsil, which do not belong to Sunyeok(巡歷) corridor of minister Lee Hyoungsang, 'Yeoung Ju-Sipikyung', directly related to 'T'amna-Sipkyung', has six beautiful sceneries: Seongsan of Seongsan Ilchulbong, Baekrokdam of Baekrokmanseol, Younggok of Youngsilgiam, Sanbang of Sanbanggulsa Chwibyeongdam of Yongyeonyabeom and Seogwiso of Seojinnoseong. The image of 'Gosumokma', the tenth landscape of 'Yeoung Ju-Sipikyung', was expressed as it is, through 'Udojeomma' and 'Sanjangguma'. The ten beautiful sceneries of 'T'amna-Sipkyung' were also especially described in 'T'amna-Sullyokto', besides Baekrokdam and Youngsil, which do not belong to Sunyeok corridor. As the places and landscapes emphasized on 'T'amna-Sipkyungto' and 'T'amna-Sullyokto' in common have been transmitted by the politicians and ancestors of Jeju Island, they have become established as today's 'Yeoung Ju-Sipikyung', passing through correction processes. When considering this process of development, 'Yeoung Ju-Sipikyung' are worthy of heritage and traditional landscapes accomplished in a long difficult period based on investigation into beautiful Jeju Island and the love of the island people for their home.

"탐라십경도"와 "탐라순력도"에 표현된 경관내용과 그 의미를 파악하여 현재 제주의 대표적 전통경관으로 인식되고 있는 영주십이경과의 관령성 및 변천과정을 밝힘으로써 제주 승경의 정체성과 전통을 조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 집경(集景)의 시원이 되는 탐라십경 중 백록담과 영실은 제주 신화 형성의 장(場)이자 상징체이며 해안에 포진된 조천진, 서귀진, 명월진은 강역 사수의 요충이로서 역사문화성을 함축한다. 그리고 성산 일출봉과 산방산, 취병담, 천제연폭포는 자금도 대표적인 제주 경승이자 영주십이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탐라순력도에서 보이는 제주마를 비롯 감귤 진상과 관련된 5장의 봉진 그림 속에 담겨진 '방어'와 '조정 진상'은 정치적 색채가 강한 제주 풍물경관이다. 특히 '고원방고'나 '귤림풍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귤림을 배경으로 한 풍류'나 '산장구마'나 '교래대협' 등에서 볼 수 있는 '방목된 제주마와 수렵생활' 등은 제주 고유의 풍물상으로 꾸준히 전승되었다. 탐라십경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영주십이경은 이형상목사의 순력회랑에서 벗어난 백록담과 영곡을 배제한다면 '성산일출'의 성산, '백록만설'의 백록담, '영실기암'의 영곡, '산방굴사'의 산방, '용연야범'의 취병담 그리고 '서진노성'의 서귀소 등 총 6개 경승이다. 그밖에 탐라순력도의 '우도점마'와 '산장구마' 등을 통해 영주십이경의 제 10경인 '고수목마'의 경관이미지가 고스란히 표현되고 있다. 또한, 탐라십경의 10개 경승은 순력회랑에서 배제된 백록담과 영곡을 배제하고는 모두 탐라순력도에 직간접적으로 집중 조명되고 있다.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에서 공히 강조되고 있는 공간 및 장소 그리고 경물은 제주의 위정자 등 선인들에 의해 꾸준히 전승되는 가운데 첨삭과정(添削過程)을 거쳐 오늘의 영주십이경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주십이경은 제주의 아름다운 경관에 대한 탐구와 향토애에 대한 시적 표현을 빌려 오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유산경관이자 전통경관이 아닐 수 없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룡(2004) 이익태 제주목사와 탐라십경도. 제주문화예술재단 13: 4-7
  2. 강영조, 김영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2): 27-36
  3. 김대용(2001) 제주관광론. 백산출판사
  4. 김두봉(1936) 제주도실기. 4판. 제주도실적연구사
  5. 김상범, 서주환, 노재현(2007) 제주도 우도팔경의 의미상징성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5(영문판): 24-33
  6. 김새미오(1999) 매계 이한우의 시문학고. 영주어문학회 11: 51-74
  7. 김태호(2002) 한라산의 지형경관.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지 15(1): 15
  8. 김한용(2000) 탐라순력도의 감귤산업 사적 의의. 탐라순력도 연구논총: 130-139
  9. 노재현, 신상섭, 김상범, 조찬문(2007) 영주십경의 형식구조와 의미내용 을 통해 본 제주의 경승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47-58
  10. 성당제(2005) 약천 기문의 산수미 형상과 서술적 특징; '함흥십경도기' 와 '북관십경도기' 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33(4): 383-406
  11. 신상범(2000) 탐라순력도에 나타난 경관지. 탐라순력도 연구논총. pp.185-195
  12. 신영대(2004) 제주문화 속의 오름: 탐라문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4: 179-208
  13. 제주도(2002) 탐라순력도. 서울: 로얄프로세스
  14. 제주흥사단 문화유산답사회(2005) 탐라순력도를 따라서(1). pp. 1-20
  15. 오문복 편저(2004) 영주십경 시집. 제주문화. 동양문화연구소번역총서 7: 4-8
  16. 오상학(2006) 지도와 地誌로 보는 한라산. 한라산의 인문지리.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17. 이보라(2007) 17세기 말 탐라십경도의 성립과 '탐라순력도첩'에 미친 영향. 온지논총 17: 69-91
  18. 이익태 저, 김익수 역(1977) ‘지영록’. 제주문화원
  19. 이원조 저,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역(1989) 탐라지초본(영인본)
  20. 이형상(2009) 남환박물: 남쪽 벼슬아치가 쓴 18세기 제주 박물지. 서울: 푸른역사
  21. 현행복(2004) 제주문화의 원류찾기 4. 방선문. 제주. 각출판사
  22. KBS역사스페셜(2001) 탐라순력도, 제주는 군사 요새였다. 역사스페셜 3. 서울: 효형출판
  23. http://cafe.daum.net/naturalscience/GDK9/12?docid=17N7X|GDK9|1 2|20070307014743&q
  24. http://jejuro.go.kr/sub/index.php?contents=2355&act=view
  25. http://nature.jeju.go.kr/board1/?ac=view&seq=496&lnum=469& pageNo=10&tn=view_bbs_news&
  26. http://virtualjeju.culturecontent.com/culture/culture.asp?page=a_ 03_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