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ng O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 Focused on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농촌지역의 객관적 경관 평가 - 전북 고창선동권역을 대상으로 -

  • Ban, Yong-Un (Dep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Hoon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Na, Sang-Il (Dept. of Agricultural and R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Youn, Joong-Shuk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Baek, Jong-In (Dept. of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영훈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 나상일 (충북대학교 대학원 지역건설공학과) ;
  • 윤중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 백종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o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n additive integration index method in the Seondong region of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This study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n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for landscape assessment based on indicators and weight to each space type in accordance with three landscape field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expert Delphi method. Second, this study used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permeable area rate, which were available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to calculate the green naturality degree, area rate, and building coverage respectively. Third, this study has calculated the landscape assessment index of rural regions using an additive integration index method made of assessment data and weight for each indicator.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landscape level was very poor in all 6 types of space, marking grade five; 2) while the highest level of natural landscape and mixed landscape was grade two, that of artificial landscape was grade five; 3) based on objective landscape, grade fiv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nd grade one, two, three, and four followed in that 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고창군의 선동권역을 대상으로 가법형 통합 지수를 사용하여 농촌지역의 객관적 경관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는 다음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1) 농촌경관의 개념 및 평가방법을 살펴보고, 경관 평가지표와 가중치를 바탕으로 객관적 경관 평가를 위한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2) 경관 평가지표 즉, 녹지자연도, 면적률, 건폐율에 대한 주제도 구축을 위해 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식생지수 및 투수면적률을 산정하여 GIS DB를 구축하였다. 3) 평가데이터 및 각 지표에 의한 가중치를 통해 작성된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사용하여 공간유형별, 경관영역별, 객관적 경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유형별 양호한 경관으로 판단되는 2등급 이상의 비율은 경작지, 수공간, 산림, 시가화 지역, 주거지, 건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발지가 포함된 시가화 지역, 주거지, 건물 등에서 객관적 경관은 열악하게 평가되었다. 2) 경관영역별 2등급 이상의 비율은 혼합경관, 자연경관, 인공경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발지로 이루어진 인공경관의 객관적 경관은 열악한 상태를 보였다. 3) 객관적 통합 농촌 경관 지수의 범위는 4등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등급, 2등급, 3등급, 5등급 순으로 나타났으며, 객관적 경관이 보통 이하인 3등급 이하가 약 56.5%로 통합 농촌경관은 열악하게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대학교, 국립산림과학원(2006)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한 지표선정 및 지수화 연구. 농림부
  2. 고길곤, 하혜영(2008)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 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보 17(1): 288-289
  3. 교육인적자원부, 농촌진흥청(2006)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교육인적자원부․농촌진흥청
  4. 김광임, 박용하, 최재용, 박재근, 박소현(2005) 농촌의 경관가치 평가와 관리방안: 심미적․경제적 가치와 환경정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김상범(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 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12(3): 13-18
  6. 김성민(2006) 농촌경관개선종합대책(안). 농촌경관의 보전.형성.관리 세미나 주제발표. p. 6.
  7. 김세천, 오동현(1996) Biotop 개념을 도입한 생태도시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4(2): 155-174
  8. 김정호, 박동규, 김홍상, 송미령, 이병훈, 강소영, 전찬익, 조성은, 이지혜(2004) 농업․농촌 종합대책 실천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김정호, 한봉호(2006) 도시생태계 구조를 고려한 비오톱 유형 구분. 한국조경학회지 34(2): 1-17
  10. 김정호, 한봉호, 이경재(2006)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도시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국토계획 41(1): 167-184
  11. 김현수, 문채(2004) 비오톱과 도시계획. 도시정보 10월호: 3-14
  12. 나정화(2005) 경관 생태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통한 도입 가능성과 한계성. 한국조경학회지 33(3): 45-70
  13. 나정화, 류연수(2003) 도시 경관생태계획 지표설정 및 중요도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8(1): 21-35
  14. 나정화, 이설철, 사공정희, 류연수(2001) 생물종 및 서식지 보전의 관점에서 본 대도시의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8(6): 29-51
  15. 나정화, 이정민(2003) 경관생태적 측면에서의 도시 에코톱의 분류방법 및 특성방법 및 특성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지로. 한국환경과학회지 12(12): 1215-1225 https://doi.org/10.5322/JES.2003.12.12.1215
  16. 농어촌연구원(2005) 농촌계획 수립을 위한 경관가치의 평가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기반공사
  17. 박동규, 김창길, 임송수, 송미령, 김배성, 박경철(2004) 중장기 직접지불제 확충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 반영운, 김민아, 정재호, 백종인(2009) 가법형 통합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농촌경관 평가: 전북 고창선동권역을 대상으로. 농촌계획 15(2): 27-42
  19. 반영운, 백종인, 김민아, 윤진옥(2008)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농촌계획 14(3): 53-61
  20. 송미령(2006) 농촌경관 개선을 위한 정책의 방향. 한국경관협의회 공개세미나 주제발표
  21. 심원섭, 류광훈(2001) AHP에 의한 관광정책사업의 평가지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13: 135-155
  22. 오충현, 이경재(2000) 도시생태계 보전을 위한 비오톱 평가기법: 새서울 타운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5): 130-137
  23. 유헌석(2002) 자연경관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4. 이상문(1991) 서울 근교 묵현리 마을의 취락경관변화에 관한 연구: 1960년대 이후 경관변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상영, 長谷部正, 野村希晶, 木谷忍(2002)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농촌경관평가의 한․일 비교. 농업경영․정책연구 29(4): 639-658
  26. 이재준, 이상문(2001) 환경친화적인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성 평가 및 평가지표 적합성 판단 연구. 국토계획 36(2): 7-17
  27.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8. 정영근, 이 준(2003)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지수화 연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9. 정응호, 김정환(1999) 도시비오톱유형분류를 위한 GIS 활용성에 관한연구. 산업기술연구소논문보고집 22(1): 281-288
  30. 조동길, 조동범(2007) 친환경 주거를 위한 외부공간의 비오톱 유형 분류 및 적용 항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1): 57-71
  31. 조현주, 나정화, 박인환, 김수봉, 류연수, 장갑수(2008) 지구단위 차원 에서의 비오톱 보전가치평가 연구: 대구광역시 신서동 택지개발 사업 지구를 사례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5): 38-59
  32. 주신하, 임승빈(2008) 농촌경관계획수립 기준 정립 연구. 농촌계획 14(4): 70
  33. 청주시(2007) 시민이 함께 하는 도시생태현황도(Biotop Map) 구축. 청주시
  34. 한국농촌공사(2006) 고창 선동권역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경관기본계획. 고창군․한국농촌공사
  3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1) 국가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환경부
  36. 한상욱(2000)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한승호(2003) 농촌마을 경관계획에 있어 경관정보의 수집과 가시화기법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Antrop, M.(2004) From holistic landscape synthesis to transdisciplinary landscape management. In B. Tress, G. Tress, G. Fry, and P. Opdam, eds., From Landscape Research to Landscape Planning. pp. 27-50
  39. Chen, S. Y. and Lin, J. Y.(2007) Developing a simplified river landscape assessment model: Examples from the Chungkang and Touchien river, Taiwan. Environ Monit Assess 127: 489-502 https://doi.org/10.1007/s10661-006-9297-3
  40. Freeman, C. and O, Buck(2003)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mapping methodology for urban areas in New Zealand.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3: 161-173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188-3
  41. Freeman, C.(1999)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the conservation of urban biodiversity. Urban Policy Res. 17(1): 51-61 https://doi.org/10.1080/08111149908727790
  42. OECD(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Methods and Results Vol 3. OECD
  43. Sat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McGraw-Hill Book Co.
  44. Satty, T. L.(1982) Decision Making for Leader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or Decisions in a Complex World. Belmont, Calf.: Lifetime Learning Publication
  45. Satty, T. L.(199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oi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2nd ed). Pittsburgh. PA: RWS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