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Non-sedentary' in Contemporary Multi-housing Planning

현대집합주거계획에서 비정주성이 표현된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김미경 ((주)케이비 환경디자인실, 숙명여대 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9.08.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n-sedentary in contemporary multi-housing plann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nomadic life. A document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and classifi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non-sedentary dwelling spaces since 1980. Finally, today the applicable cases of non-sedentary space are as follows; the sharing housing, the adapting housing, and temporary housing for the multi-purpose spaces, huge spaces and the industrialization housing. First of all, in order to conform the concept of nomadism, the theory and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hree aspects; The concept of thought of lines, events and Rhisom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luidity, multiplicity and the non-hierarchy, that is mainly based on the philosophy of Gilles Deleuz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non-sedentary dwelling space has been developed in what form and method they have been applied and interpret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It attempted to resolve the concept of movement and mo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so that they might apply to the space of contemporary city.

Keywords

References

  1. 강 혁(2002), 거주와 건립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11(4), 71-77
  2. 구민범(2006), 하이데거의 사방개념을 통한 현대도시의 거주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4-95
  3. 권영걸(2001),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27
  4. 김겸효(2003), 1인가구를 위한 도시주거계획, 경기대 건축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5. 김미경, 김진영, 백혜선(2008), 현대주거공간에 나타난 비정주성 개념의 적용사례와 국내발전방향,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보고서, 11-60, 93-132
  6. 김현하(2001), 단위와 커뮤니티의 해석을 통한 비정주적 주거 공간에 관한 연구, 인하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희주(2004), 현대공간디자인의 노마디즘 개념과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숙, 임종엽(2004), 모바일 스페이스의 공간 구성 및 용법에 의한 일시적 거주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5)
  9. 나혜숙(2007), 후기구조주의 사유를 통해본 현대주거공간의 노마디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문정인 외(2006), 이동가능 건물의 공간적 특성과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3), 45
  11. 손만영(2000), 유목적 사고의 건축적 해석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안은희, 이정욱(2003), 현대거주개념의 의미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40
  13. 양옥경(2001), 가족개념에 대한 대학생의 의식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권,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76-180
  14. 우신구(1999), 근대주거의 내, 외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은경(2005), 현대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유목적 사고에 관한 연구,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16. 이진경(2002),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 노마디즘 1, 휴머니스트, 425-426
  17. 이진경, 신현준 외(1995), 철학의 탈주, 새길출판사
  18. 정상혁(2008),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새로운 가상주거 공간계획,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 석사논문
  19. 한효경(2004), 다중성에 의한 유목적 주거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25
  20. 월간 Concept 44, 2002
  21. Activity Diagrams (2008), 도서출판 담디
  22. Jacques Attali, 21세기 사전, 정혜원 역(1999), 중앙 M&B
  23. Jeremy Rifkin (2001), 소유의 종말, 이희재 역, 민음사, 188
  24. James Meller (1972), ed., The Buckminster Fuller Reader, Pelican
  25. M.Cacciari (1999), "To Dwell, To Think" in (Casabella, 662-663), Milano, 6-7
  26. Noberg-Schulz, Chiristian, 이재훈 역(1995), The Concept of dwelling; On the Way to Figurative Architecture, 태림 문화사
  27. R. Kronenburg (2002), Houses in Motion, Wiley-Academy
  28. R. Kronenburg (2002), Modern Architecture and Flexible Dwelling, Living in Motion, Vitra Design Museum
  29. R. Kronenburg (2007), Flexible Architecture that Responds to Change, Laurence King Publishing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