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miotic analysis of trilogy

<슈렉> 3부작의 기호학적 분석

  • 이윤진 (경성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
  • 권재웅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ilogy by means of semiotics. trilogy constructs a story as a whole while each piece delivers a concluded ending. This study used 'modele actantiel' and 'carre semiotique' of Greimas in order to clarify not only the meaning structure but also the course of narrative of . is a compelling story which reverses the fairy tale of a beautiful princess and a heroic prince. Each piece of the trilogy unfolds as following; (1)ls the love of a princess and an ogre possible? (2)Can the marriage of the couple get confirmed? (3)Can Shrek be free again? The repeated meaning structure of trilogy is the binary opposition of nature versus culture, and the narrative course forms the meaning square on the basis of the opposition. Human culture represented by the lord Farquaad and Duloc castle signifies cleanness, order, complex, anxiety, paranoia, authoritarian, and violent. On the contrary, Nature represented by Shrek and the swamp signifies barbarity, freedom, confident, maturity, unstrained, and humar. The meaning of Shrek series is generated by the structure of the basic discrimination of culture versus nature. However, as story twists the bias and fixed idea, the meaning structure of Shrek shows a unique relationship of culture and nature. Although Shrek, an ogre, lives alone in a swamp because of the bias of human world, he is depicted as self-sufficient, comfort, and broad-minded. On the basis of this meaning structure, Shrek is not a story that an ogre(nature) strives to enter the human culture, nor a story that nature wins a victory at the confrontation between culture and nature, but a story that human(culture) and ogre(nature) overcome their fixed ideas through the transition from culture to nature and vice versa.

<슈렉>은 기존의 동화와는 다른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선보이며 기존 관습에 균열을 만들어서 고정화된 관념에 대한 인식의 변화, 사고의 전환을 유도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세 편의 슈렉 이야기에 반복되는 의미구조를 그레마스의 행위자 모델과 기호학적 사각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행위자 모델은, 잘 알려져 있듯이, 세 쌍의 대립항을 통해 이야기의 기본적인 서사도식을 분석하는 기호학적 도구다. 이에 비해 기호학적 사각형은 기본적인 이항대립을 중심으로 형성된 의미지형을 통해 이야기의 의미생성 경로를 시각화하는 모델이다. 기호학적 사각형이 심층층위에서의 의미경로를 탐색하는 모델이라면 행위자 모델은 심층적 의미가 서사적 차원에서 구조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주와 괴물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영원한 행복 찾기를 중심으로 한 행위자 분석과 기호학적 사각형을 통한 의미생성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자연과 문화간의 대립에 기반한 슈렉의 이야기 구조를 시각화한다. 분석의 중심 대상은 1편은 슈렉과 피오나의 사랑, 2편은 슈렉과 피오나의 결혼 생활, 3편은 권력과 자유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