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 Water Pollution Management using Reservoir Tank Automatic Classification

저수조 자동 분류를 이용한 효과적인 수질 오염 관리

  • Chung, Kyung-Yong (Depart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Purdue University) ;
  • Jun, In-Ja (Depart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Purdue University)
  • 정경용 (상지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 전인자 (상지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Published : 2009.08.28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IT convergence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master plan for the four rivers restoration of the government, the importance of the eco-friendly water pollution management is being spotlighted.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effective water pollution management using the reservoir tank automatic classification for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nd on-line managing efforts of ceo-friendly reservoir tanks. The proposed method defined the seven factors of water pollution evaluation and managed the water pollution according to hydrogen ion concentration(pH), chemical oxygen demand(COD), suspend solid(SS), dissolved oxygen(DO), count of coliform group(MPN), total phosphorus(T-P), and total nitrogen(T-N) using the sensors. We measured the values for the seven factors from the reservoir tank and normalized to ranging from 1 to 9.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pollution management using the reservoir tank automatic classification, we conducted F-measure so as to verify usefulness. This evaluation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by the traditional system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T 융합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부의 4대강 복원을 위한 마스터플랜이 구축되면서, 환경 친화적인 수질 오염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 저수조의 수질 향상과 온라인 관리를 하기 위해서 저수조 자동 분류를 이용한 효과적인 수질 오염 관리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수질오염 평가의 7가지 요소들을 정의하였고 센서를 이용하여 수소이온농도(pH), 화학적 산소요구량(COD),부유 물질량(SS), 용존 산소량(DO), 대장균군수(MPN), 총인 (T-P), 총질소(T-N)에 따른 적합한 수질 오염 관리를 하였다. 저수조의 7가지의 수질 오염 요소간의 측정치를 평가하고 [1,9] 사이에 분포하도록 정규화하였다. 저수조 자동 분류를 이용한 수질 오염 관리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하기 위해 F-측정식을 이용하여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평가 결과, 기존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우달식, 김주환, 최명수, "국내 저수조와 옥내배수관 유지관리 현황 및 향후 개선 방안", 한국상하수도협회지, 제9권, 2005.
  2. 국토해양부, www.mltm.go.kr/4river.
  3. 한무영, "대체수자원으로서의 빗물활용방안", 대한상하수도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07-210, 2000.
  4. 물 수요관리 종합대책 수입 연구, 환경부, 2002.
  5. 문광순, 환경친화적인 위생저수조 및 옥내배관 시스템의 유지관리기술 개발, 한국계면공학연구소보고서, 환경부, 2004.
  6. 한석순, 김홍기, 이경호, 우선희, 김재정, 정근욱,"퍼지 적분을 이용한 금강지천의 수질오염 평가시스템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0호, pp.1-8, 2006.
  7. 정경용, "저수조 무선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6호, pp.16-25, 2006.
  8. 정경용, 여충구, 이정현, 저수조 무선 통합 관리시스템, 등록번호 10-0593480, 특허청, 2006.
  9. 정경용, 조선문, "수질향상을 위해 예측을 이용한환경 친화적인 저수조 관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9-13,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6.009
  10. 환경부, 수질환경기준, www.me.go.kr.
  11. 양근호, 김석구, 곽필재, 김영성, 김정환, "저수조의 수질 감시시스템 개발", 환경공동학술대회, pp.1909-1912, 2007.
  12. 허인량, 정의호, 권재혁, "수자원 보전을 위한 유역통합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제28권, 제2호, pp.61-69,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