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Curriculum on Vocational High School under Analysis e-Business Demand Education

e-Business Demand Education 분석에 따른 전문계고 Curriculum 연구

  • 안재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정보경영학과) ;
  • 박대우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It is difficult that expertise human supply and demand for industry requires by imbalance of industry necessity human and profession organs of education's Skill Mismatch. Industry can prove productivity though reeducate school graduation person in spot and master correct technology in industry special quality. This paper is research that accommodate Demand Education that industry requires and make out full text caution Curriculum Specializing Vocational High School in e-Business field. Analysis e-Business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nalysis knowledge and technological level that require in industry about e-Business education and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emand. Base industry, Support industry, Apply e-Business Curriculum that is examined by practical use industry to learning, Do to estimate satisfaction about Demand Education Curriculum of industry and confirm Success special quality with research and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wave. Suggested for e-Business Curriculum's basis model in this paper and school subject Curriculum. Wish to contribute in nation development through productivity elevation through e-Business education of industry request.

산업별 필요인력의 수급 불균형과, 직업교육기관의 Skill Mismatch로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문기술 인력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산업체는 학교졸업자를 현장에서 재교육하고, 산업특성에 맞는 기술을 습득하여야만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가 요구하는 Demand Education을 수용하고, e-Business 분야에서 특성화 전문계고 Curriculum을 작성하는 연구이다. e-Business 산업분류 및 직종분류를 파악하고, e-Business 교육에 대해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Skill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요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기반산업, 지원산업, 활용산업별로 조사된 e-Business Curriculum을 학습에 적용하고, 산업체의 Demand Education 계고 e-Business Curriculum의 기본 모델과 학과별 Curriculum을 제시하고, 산업체 요구의 e-Business 교육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통한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승일, 장명희, 조용, 송달용,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육성지원 프로그램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2. 정철영, 나승일, 이광호, 안강현, 이종범, "강원도 실업계고 종합발전방안," 강원도교육청, 2006년
  3. 교육혁신위원회,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교육혁신위원회, 2005년
  4. 박인섭, "중등직업교육 특성화정책 분석:녹색성장시대 eBusiness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7년
  5. 정금석, "중소기업을 위한 e-Business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대 산업기술대학원, 2003년
  6. 전남주, "E-business 인력분류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년
  7. Papazoglou, M. P. & P. A. A. Rubbersm, "e-Business :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Foundations," John Wiley & Sons, 2006.
  8. 한국전자거래진흥원, "e-Business 기술 스킬표준 및 연수로드맵연구," 산업자원부, 2007년
  9. 서울특별시교육청, "고등학교 신설학과 신설과목 교육과정," 서울특별시 교육청, 2007년
  10.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산업자원부, "2006 e-Business 백서," 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6년
  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특성화고등학교 성과분석 및 운영 활성화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12. 김성식, 유인선, "e-Business 기술과 전략," 기한재, 2008년
  13. 박인섭, "전문계고 e-비즈니스 특성화 전환 수요파악 및 지원방향 수립," 한국전자자거래진흥원, 2007년
  14. 김영웅, "정보통신부 인력양성 프로그램,"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3권, 1호, 53-59쪽, 2005년 6월
  15. 고완기, "e-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7권,2호, 161-167쪽, 2002년 1월
  16. 김경우, 홍창범, "기업간 e-비즈니스(B2B 전자상거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6권, 3호, 91-101쪽, 2001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