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Cartoonish Element in Folk Painting

민화(民畵)의 만화(漫畵)적 요소 연구

  • 이순구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
  • Published : 2009.05.30

Abstract

The discussion on folk painting (minwha) has been continued till recent in various ways. MinWha is applied by painting artists and also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of design. These are the attempts approved by the viewpoint of the 'Korean beauty'. In saying so, minwha symbolizes for typical types of Korean painting, and is articulated as an aspect of forgotten spirit. However, despite the fact of Minwha's frequent application, and its evident originality, it remains only the thread of the existence. Although minwha has a lot of commonalities and similarit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artooning, a decisive attempt of cartooning is hardly shown through. Therefore, this paper is aim to classify creative paintings b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inwha, such as exaggeration and abridgment, sarcasm and current affair aspect, common technique of art drawing, caricatured element, expression of an ideal world, various techniques from artist's different comprehension, etcetera and to make opportunity to constructively apply these features in cartoons. The types of minwha are mostly classified by the contents of the painting.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caricatured aspects in minwha, it will be largely classified by the elements of animal, plant, human, insect species, finny tribe, feathered tribe, and nature phenomenon. This classification takes advantage of accessibil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object, and leads to take a positive approach.

민화(民畵)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여러 방향으로 지속되어왔다. 회화 작가들에 의해 응용되며, 또한 디자인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는 대부분 '한국의 미'라는 관점에서 용인되어 시도되는 것들이다. 그만큼 민화는 한국의 대중적인 회화를 상징하고 잊혔던 정신의 한 면으로 통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활용에도 불구하고 민화의 뚜렷한 독창성에 비해 명맥만 유지하는 현상이다. 만화의 특성과 많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한 만화의 시도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과장과 생략, 풍자와 시사성, 대중적인 그림화법, 희화적 요소, 이상향의 세계표현, 작가마다의 다른 이해에 의한 화법 등 민화의 특징에서 독창적인 그림을 분류하고 연구하여 만화적인 화법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민화의 유형은 대부분 그림 내용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이 민화 속에 만화적인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므로 동물, 식물, 인물, 곤충, 어류, 조류, 자연현상 등 그린 대상으로 크게 묶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대상의 캐릭터화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적극적인 접근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