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in science instruction

  • 발행 : 2009.08.30

초록

이 연구는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중학생과 교사들이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503명과 담당 과학교사 16명이었다. 연구자료는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 측정도구(PLEIS)'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학생과 교사의 인식과 성별 인식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을,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중학생들의 과학 수업의 심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은 성별, 과학성취도, 과학선호도, 자아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과학교사들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학생들과 과학교사들간의 인식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교사가 과학수업의 심리적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을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study sampled 503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16 teachers who taught them.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 by Science Teacher' was implemented to collect dat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s well as t-test, ANOVA were used for basic analysis of data.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by gender, science achievement, science preference and self-efficacy in science. However,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by gender, age, career year and major.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was not large, showing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eacher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자, 양정은, 여성희 (2002). 중학생의 과학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학습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30(2), 190-196
  2. 노태희, 최용남 (1996). 초${\cdot}$${\cdot}$고등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7-225
  3. 박기성 (2004).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학습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중길 (2008). 무용전공 대학생의 지각된 학습환경에 따른 무용수업 흥미.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7(3), 439-449
  5. 윤혜경 (1993). 과학 실험 수업의 사회심리적 환경과 성취도와의 관계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이광성 (2000). 수업환경 결정요인과 사회과 고급사고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0(3),147-164
  7. 이선경 (2003). 과학수업환경 중 교사요인에 대한인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 성취도의 관계. 이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이연우, 우종옥, 김정률 (1996). 중학생들의 자료해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환경변인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9. 이재천 (1998).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정의적 인식 및 인지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이재천, 김범기 (1998). 과학수업에서 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 측정 도구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13-325
  11. 이재천, 김범기 (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미치는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15-328
  12. 이현남 (1988). 효과적 학습을 위한 심리적 학습환경에 관한 고찰. 초등교육연구, 2, 33-41
  13. 정원식 (1983). 현대교육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14. 조하희 (1998). 학습환경과 심리적 제변인가의 상관연구.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 27, 171-198
  15. 최용남 (1997).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및 과학관련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Bergin, D. A. (1999). Influence on classroom interest. Educational Psychology, 34(2), 87-9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402_2
  17. Borich, G. D. (1988). Effective teaching methods. Columbus, OH: Merrill Publishing Company
  18. Brookover, W. B., Schweitzer, J. H., Schneider, J. M., & Beady, C H. (1978). Elementary school social climate and school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5(2), 301-358 https://doi.org/10.3102/00028312015002301
  19. Brophy, J. E., & Good, T. (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 C. Wittrock.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third edition (pp.328-375). New York, NY: Macmillian
  20. Coleman, J. S. (1968). The concept of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Harvard Educational Review, 38, 7-32 https://doi.org/10.17763/haer.38.1.m3770776577415m2
  21. Crawford, M., & MacLeod, M. (1990). Gender in the college classroom: An assessment of the "Chilly climate" for women. Journal of Research, 24(3), 101-122
  22. Fraser, B. J., & Fisher, D. L. (1982). Predicting of students' outcomes from their perception of classroom psychosocial environ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4), 498-518 https://doi.org/10.3102/00028312019004498
  23. Haladyna, T., & Shaughnessy, J. (1982).Attitudes toward science: A quantitative synthesis. Science Education, 66(4), 547-563 https://doi.org/10.1002/sce.3730660406
  24. Hattie, J. (1992). Measuring the effects of schooling.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36(1), 5 https://doi.org/10.1177/000494419203600102
  25. Hidi, S. (1990). Interest and its contribution as a mental resource for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4), 549-571 https://doi.org/10.3102/00346543060004549
  26. Fuller, F. F. (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207-224 https://doi.org/10.3102/00028312006002207
  27. Krapp, A., Hidi, S., & Renninger, K. A. (1992). Interest, learning and development. In K.A. Renninger, S. Hidi, & A. Krapp (Eds.),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pp.3-2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8. Kremer, B. K., & Walberg, H. J. (1981).Synthesi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on science learning. Science Education, 65(1), 11-23 https://doi.org/10.1002/sce.3730650104
  29. Marshall, W. (1994). Ecological assesment: A collaborate approach to planning instructional interventions. Interventions in School & Clinic, 29(3), 161-164 https://doi.org/10.1177/105345129402900306
  30. Moos, R. H. (1979). Assessing the social environments of sheltered care settings. Gerontologist, 19(1), 74-82 https://doi.org/10.1093/geront/19.1.74
  31. Shirey, L. L., & Reynolds, R. E. (1988). Effects of interest on attention an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2), 159-166 https://doi.org/10.1037/0022-0663.80.2.159
  32. Walberg, H. J., & Anderson, G. J. (1968). Classroom climate and group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 2(3), 17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