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터널 시공중 지반조건별 위험 시나리오 관리기법

Management of Risk Scenarios based on Ground Conditions under Construction of a Subsea Tunnel

  • 박의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신희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신용훈 ((주) 비씨엠피) ;
  • 김택곤 (SK건설(주) Geotask팀)
  • 발행 : 2009.08.31

초록

해저터널을 굴착할 때 다양한 지반조건에서 발생하는 기술적인 위험에 대한 원인 규명과 조치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예상되는 위험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위험 시나리오를 분류할 때 터널 굴착노선 전반에 걸쳐 발생되는 시나리오와 일부 구간에 국한하여 발생되는 시나리오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프로젝트관리 측면에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논리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 시나리오에 대한 관리기법으로 프로젝트 위험 시나리오와 프로젝트 관리요소를 구성하고 파일럿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프로젝트 일정을 수립하였다. 특히 해저터널에서 예상되는 위험 시나리오를 일반 위험 시나리오와 특정 위험 시나리오로 분류하고 프로젝트 관리요소와 연계할 수 있는 개념을 도출하였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causes and measures for technical risks that occur in various ground conditions when a subsea tunnel is excavated, it is important to configure expected risk scenarios. In addition, when the risk scenarios are classified because the scenario that occurs along all tunnel route and the scenario limited to some area are considered together, a logical framework with systematic and organized responses can be provided for project managements. In this research, project risk scenarios and management elements were configurated, and the project schedule was established for the management techniques to the risk scenario. The risk scenarios expected in a subsea tunnel were classified into a common risk scenario and a special risk scenario, and the concept which can combine with the project management elements was derived.

키워드

참고문헌

  1. Nilsen, B., Palmstrom, A., 2001, Stability and water leakage of hard rock subsea tunnels, Modern Tunneling Science and Technology, pp.497-502
  2. Blindheim, O. T, Ovestedal, E., 1992, Water control in sub sea road tunnels in rock, Norwegian Subsea Tunnelling Publication No. 8, pp.35-42
  3. PMI Standards Committee, 2000,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MI
  4. Sidney M. Levy, 2000, Project Management in Construction, McGraw-Hill
  5. 한국기술용역협회, 1985, 엔지니어링(Project Management) 용어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