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K-ABC Profile of Young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Young Children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K-ABC 프로파일 분석

  • Oh, Mee-Hyeong (Center for Gifted & Talented Education, Uiduk University)
  • 오미형 (위덕대학교 영재교육원)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ast young gifted children with ordinary young children in K-ABC profile. The subject were 51 young gifted children and 51 ordinary young children, 2 to 4 years of age. Data of children's K-ABC profile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Crosstab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ordinary young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Mental Processing Composite' and all sub-tests of mental processing composite except 'face memory' test, 'Achievement Scale'. In young gifted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Mental Processing Composite' and just four sub-tests of mental processing composit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ntal Processing Composite' and 'Achievement Scale'.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sub-tests' strength and weakness in young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young children. Third, young gifted children got higher score in 'Sequential Processing Scale' and 'Mental Processing Composite' than 'Achievement Scale'. But in ordinary young childr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K-ABC' sub-scal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영재 51명과 일반유아 51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K-ABC의 프로파일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K-ABC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비교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아의 경우는 얼굴기억 검사를 제외한 모든 인지처리 하위검사들이 인지 처리과정척도와 정적상관이 유의하였으나 유아영재의 경우는 손동작, 수회생, 얼굴기억, 위치기억검사와의 상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유아영재의 경우, 인지처리 과정척도와 습득도척도와 유의한 상관이 없었으나 일반유아는 습득도 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영재와 일반유아의 인지처리 하위검사와 습득도 하위검사의 강점과 약점에 차이가 있을 것인지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영재와 일반영재의 K-ABC종합척도 프로파일을 비교한 결과, 순차처리 동시처리 척도간의 비교와 동시처리척도 습득도척도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아영재는 습득도 척도에 비해 순차처리척도와 인지처리과정척도의 접수가 높은 경우가 일반유아에 비해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아, 윤초회 (2005). 지적으로 우수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가정환경요인이 심리사 회적 적용에 미치는 영향-부부관계와 양육태도졸 중섬으로. 한국아동권허학회, 9(2), 319-338
  2. 문수백 (1997). K-ABC 해석요강. 서울 학지사
  3. 박혜원, 윤여홍 (1999). 왜슬러 유아지농검사에서의 영재아동의 수행특성. 인간발달 연구, 6(2), 33-46
  4. 오영진, 신선희 (2008). Feuerstein의 도구적 심화프로그랩을 통한 중재학습경험이 영재유아의 추론능력에 미치는 효과 열련유아교육연구, 13(2), 331-356.
  5. 윤초희, 윤여홍, 김홍원 (2004).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 국성리학회지, 17(2), 177- 196
  6. 장영숙 (2006).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치관 및 지원이 유아의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6(6), 296-286
  7. 전경원 (1992). 유아영재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 광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 319-333
  8. 전경원 (2000). 한국의 써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학문사
  9. 정범모 (1996).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영유아 보육 및 유아교육의 과제와 전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 1-15
  10.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2004) 영재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적 성취도에 따른 지적, 정의적 및 가정의 심리적 환경특성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0(1), 97-124
  11. 한국교육개발원 (1986) 취학전 영재의 특성 및 부모의 지도실태와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연구보고 86-41
  12. 황희숙, 강승희, 윤소정 (2003). 유아영재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K-WPPSI 수행과 창의성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3(4), 81-104
  13. Barbour, N. E. (1992). Early childhood gifted education: A col1aborative perspective.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5(2), 145-162
  14. Bogen, J. E. (1969). The other side of the brain: Parts 1. 11. and III. Bulletin of the LosAngeles Neurological Society, 34, 73-105
  15. Bogen, J. E. (1975). Some educational aspects of hemispheric specia1ization. UCLAEducator, 17, 24-32
  16. Das, J. P., Kirby, J. R., & Jarman, R. F. (1979). Simultaneous and successive cognitiveprocesses. New York: Academic Press
  17. Erlich, V. (1978). The Astor Program for gifted children: Pre-kindergarten through gradethree. New York: Teachers Col1ege Press
  18. Feuerstein, R. (1979). The dynamic assessment of retarded peψrmers. Baltimore:University Park Press
  19. Feuerstein, R. (1980). Instrumental enrichment: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ognitivemodifiability. Ba1timore: University Park Press
  20. Gazzaniga, M. S. (1970). The bisected brain. New York: Appleton Century Crofts
  21. Gordon, H. W., & Bogen, J. E. (1974). Hemispheric 1ateralization of singing afterintracarotid sodium amylobarbitone. Journal of Neuralogy, Neurosurgery, andPsychiatry, 37, 727-738 https://doi.org/10.1136/jnnp.37.6.727
  22. Herskovits, M. (2000). Fami1y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high abi1ity.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4, 237-246 https://doi.org/10.1177/026142940001400305
  23. Karen, J. A. (2001). Gifted: The 10st minority. Kappa Delta Pi Record, 168-172
  24. Kames, M. (1983). The underserved: Our young g띠d children. Reston, V A: TheCounci1 for Exceptional Children
  25. Kaufman, A. S., & Kaufman, N. L. (1984). K-ABC Interpretation manual. Circle Pines,MN: American Guidence Service
  26. Kimura, D. (1967). Functiona1 asymmetry of the brain in dichotic listening. Cortex, 3,163-178
  27. Levy, J. (1972). Lateral specialization of the human brain: Behavioral manifestations andpossible evolutionary basis. In J. A. Kiger(ED.), Biology of behavior. CorvallisOR: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28. Luria. A. R. (1966). Higher cortical funtions in man. New York: Basic Books
  29. Neisser, U. (1967). Cognitive psychology. New York: Trabasso Appleton-Century-Crofts
  30. Paivío, A. (1975), Imagery and synchronic thínking. Canadian Psychological Review, 16,147-163
  31. Paivio, A. (1976). Concerning dual-coding and simultaneous-successive processing.Canadian Psychological Review, 17, 69-71
  32. Piirio, J.(2000). The Piirto pyramid of talent development. Gifted Child Today, 23(6),22-29
  33. Rimm, S. (2001), Keys to parenting the g띠d child, Hauppage. N, Y; Barron’ s Educatíonal Series
  34. Roedell, W. C. (1985), Developing social competencíes in gifted preschool chíldren.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6(4), 6-1 1 https://doi.org/10.1177/074193258500600403
  35. Schneider, W., & Shif상n, R. M. (1977). Controlled and automatic human inforrnation processing: Detection, search, and atfention Psychological Review, 84, 1-66
  36. Sperry, R. W. (1975). Left-brain, right-brain. Saturday Review, 2(23), 19-25
  37. Whitmore, J. R. (1996). lntellectual giftdness in young children: Recognition anddevelopment. NY: The Haworth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