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Minimalism in Environment-Friendly Fashion

환경 친화적 시각에서 본 패션 미니멀리즘에 관한 연구

  • Shin, Ha-Na (Dept. of Clothing & Textile, Sangmyung University) ;
  • Lee, Min-Sun (Dept. of Clothing & Textile, Sangmyung University)
  • 신하나 (상명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 이민선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9.08.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inimalism in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 and to suggest methodology of environment-friendly fashion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create newly fashion-designed goods by re-arranging used goods. This method is environment-friendly, in that it recycles resources and simplifies production process. It can also meet the sense of beauty of consumers by reviving the intrinsic beauty of the used goods. Second, When we produce brand new fashion-designed goods with used goods as raw materials, the new ones reflect specific characters of the used goods which originate from their own times and regions. In this way, this method can be a fashion design which accommodate multi-cultural trends. Third, it is possible to produce goods designed by inspiration from a human body. This fashion-design method includes several ways, such as usage of human body silhouette, composition of colors using natural dyeing, and usage of natural materials. Recognizing a human being as a creature interacting with the nature can broaden range of imagination in design methodology.

Keywords

References

  1. 미술에서의 자연주의란 대상의 양식화와 표현의 관념화를 거부하고 관찰한 바 그대로틀 충실하게 재현하려는 태도를 말한다
  2. 이금희 (2007). 회화공간에 있어서 시지각과 신체 : 프랭크 스텔라와 프란시스 베이컨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홍수 (2002).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으로 조명한 1980년대 이후의 새로운 건축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곽대영 (2005). 디자인에서의 미니멀리즘의 경향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6(4), pp. 137-148
  5. 배동준 (2006). 미니멀리즘 건축 공간에 나타나는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승효상과 루이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6. 배동준 앞의 책, p. 9
  7. 김은덕 (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최소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8. 김은정 (2003). 현대 패션전문점의 미니멀리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9. 이준상 (2005). 미니멀리즘 건축에 나타난 지역성 표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9
  10. 위의 책, p. 20
  11. 위의 책, p. 21
  12. 박철한 (2007). 미니멀리즘 경향의 현대 실내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동양적 공간관에 관한 연구: 미국의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13. 이준상. 앞의 책, p. 21
  14. Merleau-Ponty. Maurice, 류의근 역 (2002). 메를로 퐁티 (우리 시대의 고전 13)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문학과 지성사
  15. 김홍수. 앞의 책, p. 49
  16. Merleau-Ponty, Maurice, 남수인. 최의영 역 (2004). 메를로 퐁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Le) visible et I'invisible : suivi de notes de travail. 동문선
  17. 강승연 (2005). 메를로-퐁티의 존재론적 회화론에 관한 연구: 봄(vision)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18. 위의 책, p. 53
  19. 위의 책, p. 57
  20. 위의 책, pp. 52-56
  21. 김홍수. 앞의 책, pp. 49-50
  22. 조광제 현대미술 강의노트내용 제6강 미니멀리즘 아트앤스터디. www.artnstudy.com
  23. 배동준. 앞의 책, p. 8
  24. 김홍수 (2002).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으로 조명한 1980년대 이후의 새로운 건축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6-29
  25. 조광제 현대미술 강의노트내용 제5강 미니멀리즘 아트앤스터디. www.artnstudy.com
  26. 신봉현 (2005). 공간의 의미와 효과표현을 위한 조명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27. 진중권 (2003). 미학 오디세이3. 휴머니스트, p. 124
  28. 김미소 (2008. 2.18) Global News Network KOREA 'AVING' [2008 하우징브랜드페어] 카림라시드(Karim Rashid), 카림 라시드, 국내 전시 통해 미래형 욕실 선보인다. 자료검색일: 2008.5.28, 자료출처: http://kr.aving.net/news
  29. 김미소 (2008.2.18) Global News Network ’AVING’ 미래 디자인 트렌드 강연회 가져 [2008 하우징브랜드페어] 자료검색일: 2008.5.28,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welovedesign
  30. 자료검색일: 2008.7.9.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hoochoo402
  31. 자료검색일: 2009.5.28. 자료출처: http://ballal.kr/30043218238
  32. 자료검색일: 2008.6.26.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ahj1208
  33. 이형원,(2008.6.2). 친환경도 트렌디하고 재미있게. 패션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08.6.15, 자료출처: http://www.fashionin.com
  34. 자료검색일: 2008.6.26.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amour203
  35. 김재영. 김창경 (2001). 환경 친화적 광고의 메시지강도와 환경 관여도 및 기업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한국광고학회. 12(2), pp. 87-113
  36. 이송이 (2006). 환경미술의 미술 교육적 측면에 관한 연구. 세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37. 위의 책, pp. 8-9
  38. 배강조 (2002). 대지미술(Land Art)의 성립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자연환경 친화적 작가를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39. 자료검색일: 2008.7.20. 자료출처: http://kr.blog.yahoo.com/zenyfree/40411
  40. 자료검색일: 2008.7.2. 자료출처: http://www.jimdenevan.com/news.htm
  41. 자료검색일: 2008.7.2. 자료출처: http://www.jimdenevan.com/news.htm
  42. 배강조. 앞의 책, p. 26
  43. 자료검색일: 2008.6.5. 자료출처: www.art-dept.com
  44. 자료검색일: 2008.6.5. 자료출처: www.art-dept.com
  45. 김은덕. 앞의 책, pp. 7-8
  46. 김수현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지속 가능한 디자인 연구 :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0
  47. 자료검색일: 2008.7.2. 자료출처: www.style.com
  48. 자료검색일: 2008.7.2.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darkmoon83
  49. 자료검색일: 2009.5.28. 자료출처: http://ballal.kr/30045531864
  50. 자료검색일: 2009.5.27. 자료출처: http://ballal.kr/30044415347
  51. 자료검색일: 2008.12.22.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urimsrightin/130011960282
  52. 자료검색일: 2008.12.22.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urimsrightin/130011960282
  53. 김수현. 앞의 책, p. 70
  54. 자료검색일: 2008.7.2.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fdgoty
  55. 자료검색일: 2008.7.2. 자료출처: http://blog.daum.net/skvkrh/14791357
  56. 자료검색일: 2009.5.29. 자료출처: http://ballal.kr/30035090827
  57. 자료검색일: 2009.5.28. 자료출처: http://ballal.kr/30048505069
  58. 조수현 (2006). 현대패션에 나타난 웰빙 트렌드에 대한 연구. 덕성여대 패션.텍스타일비즈니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6
  59. 류근종, 허은옥 (2006). 현대패션에 나타난 친환경 디자인의 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6(1), pp. 57-78
  60. 김영미 (2006). 웰빙 문화에 따른 패션과 헤어의 자연친화적 컬러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1-64
  61. 심규상 (2008. 5. 14). 색의 창조자 '꽃과 나비에게서 색을 배웠다.' 오마이 뉴스. 자료검색일: 2008.5.28, 자료출처: http://www.ohmynews.com
  62. 심규상 (2008. 5. 14). 색의 창조자 '꽃과 나비에게서 색을 배웠다.' 오마이 뉴스. 자료검색일: 2008.5.28, 자료출처: http://www.ohmynews.com
  63. 자료검색일: 2008.5.7. 자료출처: www.style.com
  64. 자료검색일: 2008.5.7. 자료출처: www.style.com
  65. 자료검색일: 2009.6.1. 자료출처: www.style.com
  66. 자료검색일: 2009.6.1. 자료출처: www.sty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