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of Agricultural Facilities for Developing a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Vinyl house, Glass greenhouse, Cattle shed-

농촌시설물 시공 및 유지관리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작업분류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9.08.20

Abstract

Recently, the scale and technical complex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has been growing. Therefore, agricultural facilities are being gradually diversified, expanded, and made more complex. To furnish Korea's agricultural industry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thus necessary to introduce new management techniques. The PCM (procurement-construction-maintenan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facilities is established by setting up its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In this study, the WBS of a facility such as facility, space, element, works, and resources is analyzed. Following this analysts, a WBS of an agricultural facilit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CM information system of an agricultural facility, is proposed by deriving it from actual WBS.

최근 들어 농촌에서는 농업규모의 증가, 기술적 복합성 증가, 대량 생산으로 시설물이 점차 다양화,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다. 또한 농업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새로운 관리기술이 필요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류체계를 설정하고자 한다. 시설물에 대한 분류체계 및 코드부여 작업을 통해 PCM(조달-시공-유지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시설물(Facilities), 공간(Spaces), 부위(Elements), 공종(Works), 자원(Resources)의 5가지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농촌시설물에 적합한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농촌시설물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비닐하우스, 온실, 축사 순으로 위계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비닐하우스는 프레임 공간과 시설물 마감공간으로 구분하여 자재코드를 부여하였다. 온실의 경우는 창호의 형태에 따라 코드를 부여하였으며, 축사는 H-beam축사, Pipe축사로 구분지어 코드를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분류코드는 향후 조달 시공 유지관리 시스템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제품의 부품화와 모듈화를 통해 전문가의 도움 없이 농민이 직접 설치 시공 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및 교체부품의 정확한 구분으로 인해 폐기물을 최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석, 곽중민,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의 공종분류코드 통합기준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2권, 제4호, pp.80-93, 2001. 12
  2. 건설교통부, 건설정보분류체계 적용기준 공고 제2006-281호
  3. 김병수, 국내외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4. 김학래 외 3인,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기반 건설정보 온톨로지 구축, 한국전가거래학회논문집, 제9권 제3호, pp.95-112, 2004. 8
  5. 농림수산식품부, 2005 채소생산실적 및 화훼 생산현황. 2006
  6. 박환표 외 3인, 한국건설정보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2권 제6호, pp.231-239, 1996. 6
  7. 백승호, 김경래, 프로젝트 분류체계를 활용한 현장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5권 제6호, pp.167-176, 1999. 6
  8. 이영재, 백형모, 효과적인 경엉정보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335-349, 1994. 11
  9. 이재열,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개념적 기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6권 제1호, pp.3-12, 2000. 11
  10. 전영일, 이교선, 건축정보 분류체계 구축을 위한 정보 분류체계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산업대학원 논문집, pp.109-125, 1993. 10
  11. 전홍강, 정보시스템 개발인력 분류체계,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집, 제1권 제1호, pp.61-72, 1994
  12. 최오영 외 4인, 농업건축물 분류체계 현황 및 문제점 파악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춘계학술발표, 제9권 제1호, pp.253-257, 2009. 5
  13. AGCA, Field Cost Accounting, 1961
  14. AIA, Standard Filing System, 1920
  15. CSI, CSI Format, 1963
  16.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home page.
  17. RIBA, CI/SfB Construction Indexing Manual, RIBA, 1987
  18. SWAC, building Construction Index, 1966
  19. 日本建築學會, 新建築學大系 44, 建築生産System, 獞國社,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