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hallow water fish from the Hakampo and Yeonpo beaches in Taea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were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monthly samples collected by a beach seine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A total of 30 species, 964 individuals and 10,564.1 g of fish were collected from the Hakampo beach, and a total of 46 species, 4,447 individuals and 28,622.4 g of fish from the Yeonpo beach. The juveniles of coastal fish such as Chelon haematochelius, Paralichthys olivaceus, Repomucenus lunatus, Sebastes schlegelii and Takifugu niphobles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And the juveniles of pelagic migrants such as Konosirus punctatus, Sardinella zunasi and Engraulis japonicus were abundantly collected between summer and autumn. The fish collected were mainly composed of small-sized species and juveniles. C. haematochelius and migrant fish were young of the year, and commercially important fish such as S. schlegeli, P. olivaceus, Pleuronectes yokohamae and Hexagrammos otakii were 1 to 2 years old juveniles. It is considered that they use the shallow water as a nursery ground until they move out to the deeper water.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were lower in the fine sand Hakamp beach than in the muddy sand Yeonpo beach where some Zostera marina were also found. In Yeonpo beach the adult of Gymnogobius mororanus preferred to live in the muddy shallow water and Syngnathus schlegeli living in the sea grass were also abundantly collected in spring in addition to resident fish and pelagic migrants in warm months. The resident species were more abundance in the Taean beach than in the beach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coast of Korea where the juveniles of pelagic migrants were more abundant.
태안 반도의 학암포와 연포 해빈 천해 역에서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지인망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학암포에서는 총 30종, 964마리, 10,564.1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연포에서는 총 46종, 4,447 마리, 28,622.4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가숭어(Chelon haematochelius)를 비롯하여 연안종인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돛양태(Repomucenus lunatu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복섬(Takifugu niphobles) 등이 우점하였고, 여름과 가을에는 전어(Konosirus punctat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같은 회유성 부어류의 유어들이 대량 출현하였다. 출현한 어류는 소형어류이거나 유어들이었으며, 가숭어와 회유성 어류는 당년생 유어들이었고, 조피볼락, 넙치, 문치가자미(Pleuronects yokohamae),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등과 같은 유용성 어류는 1-2년생 미성어들로, 이들은 조간대 천해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며 자라면서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질이 단순한 세립 모래질 학암포 해빈에 비하여 펄이 섞인 세립 모래질이고 곳에 따라 잘피가 자라는 연포 해빈에서 출현종수와 채집 개체수가 학암포 해빈에 비하여 많았다. 두 해역에서 주거종과 여름 가을 사이 회유어종의 유어들이 출현하는 양상을 비슷하였으나, 연포에서는 봄에 펄을 선호하는 얼룩망둑(Gymnogobius mororanus), 잘피에 서식하는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등의 성어들이 출현하였고 주거종의 미성어들의 생물량도 높았다. 황해 남쪽의 천해 역에는 외해에서 월동하고 수온이 높아지며 북쪽으로 이동하는 회유성 부어류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황해 중북부에 위치한 태안 천해역에는 회유종의 비중은 낮았고 주거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