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Early Adolescents' Overt Aggression and Testing Determinants of the Classes Using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을 적용한 청소년기 초기의 공격성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관련요인 검증

  • Received : 2009.05.27
  • Accepted : 2009.10.15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 (i.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early adolescents' change patterns in aggression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background variables on determining the latent classes. For these goals, we applied Nagin's(1999)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to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Results showed that four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which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 patterns as low-level group, increasing group, intermediate-level group, and high-level group. By adding gender, self-control, parent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to the unconditional latent class model,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latent classes. Multinomial logit analysis showed that gender, self-control, teacher attachment,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in the study of early adolescents' aggression to facilitate more refined targeting of interven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공격성 변화에 따라 구분되는 집단(잠재계층)의 수와 그 형태를 알아보고, 각 잠재계층과 성별, 자기통제력, 부모애착, 교사애착, 비행친구 수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1, 2, 3차 년도 종단자료에 Nagin(1999)의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변화형태에 따라 4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저수준 집단, 증가 집단, 중간수준 집단, 고수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짓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 자기통제력, 교사애착, 비행친구 수가 잠재계층을 결정하는 데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격성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태학적 변수들을 바탕으로 잠재계층을 예측하여 공격성으로 인해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적절한 대비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변화의 형태에 따라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그 잠재계층을 결정짓는 데 미치는 독립변수의 효과들을 검증하는 종단연구 방법은 아직 널리 이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