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Clinical Results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and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자가 슬괵건과 동종 전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비교

  • Lee, Hee-Yo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angnam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
  • Choi, Chul-J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angnam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
  • Choi, Chong-Hy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angnam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 이희영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최철준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최종혁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between two groups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and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7, we analyzed 68 cases of ACL reconstruction, 32 cases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and 36 cases using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with a minimum follow-up of 24 months. For the clinical evaluation, we evaluated the Lysholm score, anterior laxity by Telos device and KT-2000 arthrometer. Results: The mean diameter of graft were 8.0 mm (7.0~9.0 mm) in autograft group and 9.1 mm (8.0~10.0 mm) in allograft group. In all cases, the range of motion was above 135 degrees. The average side to side difference in Telos stress test decreased from $7.3{\pm}1.0$ mm to $2.4{\pm}1.1$ mm in autograft group and from $7.4{\pm}1.2$ mm to $2.3{\pm}1.3$ mm in allograft group. The average Lysholm knee score improved from $72.6{\pm}3.4$ to $92.3{\pm}3.5$ in autograft group and from $72.3{\pm}3.5$ to $91.6{\pm}3.3$ in allograf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linical results. Conclusion: Both hamstring tendon autograft and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groups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comes between the groups. We suggest that both hamstring tendon autograft and tibialis anterior tendon allograft will be considered as acceptable graft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목적: 자가 슬괵건과 동종 전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자가 슬괵건과 동종 전경골건을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 24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36예는 동종 전경골건을 이용하였고 32예는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였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 시 이학적 검사, Telos 기구와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고, 주관적 평가로 Lysholm 점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이식물의 평균 두께는 동종 전경골건에서 9.1(8.0~10.0)mm였으며, 자가 슬괵건에서는 8.0(7.0~9.0)mm였다. 모든 예에서 135도 이상의 관절 운동 범위를 보였으며,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고 재수술을 요한 경우도 없었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서 Telos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상에서 환측과 건측의 전방 전위 차이는 동종 전경골건 군은 평균 $7.4{\pm}1.2$ mm에서 $2.3{\pm}1.3$ mm로, 자가 슬괵건 군은 $7.3{\pm}1.0$ mm에서 $2.4{\pm}1.1$ mm로,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00), 두 군 간 차이는 없었다(p=0.569). Lysholm 슬관절 점수는 동종 전경골건 군은 $72.3{\pm}3.5$점에서 $91.6{\pm}3.3$점으로, 자가 슬괵건 군은 $72.6{\pm}3.4$점에서 $92.3{\pm}3.5$점으로, 두 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00), 두 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p=0.425). 결론: 동종 전경골건과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모두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으며,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동종 전경골건과 자가 슬괵건 모두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적절한 이식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