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 기반 지능형 u-City 도시시설물 통합관리의 개념 및 적용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Sensor-based Integrated Intelligent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for the u-City

  • 투고 : 2009.09.14
  • 심사 : 2009.10.23
  • 발행 : 2009.10.31

초록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the increase in the number and the complexity of urban facilities gives rise to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increase i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 In particular,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an emergency situation in an urban facility can cause substantial loss of property as well as casualties, it becomes important to intelligently perceive states of facilities and properly execute countermeasures through real-time monitoring. In recent years,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have made efforts to improve current passive and manpower-dependent facility management systems to be more active and intelligent, by applying divers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for the u-City project. In this study, after discussing major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facilities management, the concept and the model of a sensor-based integrated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for urban facilities are proposed. The proposed model, by analyzing and processing real-time sensor data from urban facilities, not only supports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facilities, but also enables the detection of complex facility-related events and the process of their countermeasures. This active and intelligent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facilities management, and provide more suitable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for the u-City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Krishnamurthy, S., Anson, O., Sapir, L., Glezer, C., Rois, M., Shub, H., Schloeder, K., Automation of Facility Management Processes using Machine-to-Machine Technologies. In: The Internet of Things. Volume 4952 of LNCS. Springer, Berlin, Heidelberg, New York, 2008, pp.68-86
  2. Yu, K.; Froese, T.; Grobler, F., A Development framework for data models for computer-integrated facilities manag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9, 2000, pp. 145-167 https://doi.org/10.1016/S0926-5805(99)00002-3
  3. 강준묵; 강영미; 이강원, 웹기반 GI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통합 시스템 구축, 한국측량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3, pp.287-290
  4. 김명규, 컨텍스트 표현과 규칙작성을 고려한 온톨로지 기반 컨텍스트 모델 설계 및 구현, 경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6
  5. 김명호; 신동빈; 김감래, 도로와 지하시설물 정보의 효율적인 통합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2, pp.257-260
  6. 김선진; 정우석; 박가람; 최연경; 김선중, USN 응용서비스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2007, pp.58-66
  7. 김은정; 이정환, u-City 방법론 및 미들웨어, TTA 저널 제112호, 2007, pp.55-59
  8. 김의명; 강민수; 이진영; 김병헌; 김호준; 김인현,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9권 제4호, 2006, pp.105-118
  9. 김태훈; 홍창희, u-City 도시지상시설물 관리모델 구축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8, pp.17-21
  10. 김형준, 유비쿼터스 공간의 물리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2호, 2008, pp.207-214
  11. 남상관; 최현상; 오윤석; 류승기, 지능형 도시 관리를 위한 지상시설물 분류 및 분석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6권 제2호, 2008, pp.23-29
  12. 박석지, 미래 RFID/USN 기술 전망, ITFIND, 1238호, 2006
  13. 양정선; 이진원, 한국도시에서 u-City 비전의 구현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5권 제1호, 2005, pp.429-432
  14. 오윤석; 남상관; 최현상; 류승기, u-City 기술개발을 위한 Test Lab의 필요성 연구, 한국GIS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8, pp.119-122
  15. 이상효; 김회율; 김병수; 김주형; 이윤선; 김재준, u-City 사업 모델에 객체 정보 기술 적용을 위한 개념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7권 제1호, 2007, pp.693-696
  16. 이재용,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킹 기술, TTA 저널 95호, 2004, pp.78-83
  17. 임신영; 허재두, 상황인식 컴퓨팅 응용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19권 제5호, 2004, pp.31-40
  18. 장용구; 이우식; 김형수, 기존 공간정보 관리코드 현황분석을 통한 도시공간정보 객체식별자 관리 방향, 한국GIS학회지 제16권 제1호, 2008, pp. 51-64
  19.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단, 도시시설물 지능화 기술개발 1단계 연구보고서, 2009
  20. 한국정보사회진흥원, u-City IT 인프라 구축 가이드라인 V1.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