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폐광지역 주요 관광자원 중요도 평가 연구 - 전문가와 지역주민 평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Important Perception on the Main Tourist Resource of closed Mine Area in Jeong-Seon -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s and Local Residents -

  • 투고 : 2009.09.11
  • 심사 : 2009.10.22
  • 발행 : 2009.10.31

초록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fact that Kangwon Land and large sized resorts was failed the financial benefit to the local residents. This research analyzed the best important tourist resource among the main tourist resource by perception interviewing local residents and related professionals. This study shows that the leisure resource was most important resource field in Jeong-Seon. So more attention to the leisure resources and investment them. Among natural attraction resources 'Hwa-Ahm cave and Hwa-Ahm mineral water' is estimated to have most potential for the strategic financial support. In leisure sector 'High One resort' is judged to be more important attraction resource by professionals but a case of local residents 'Dong-gang Rafting' and 'Rail Bike' were estimated more important resources rather than 'High One resort;. Lastly, in cultural resources, although the importance is a bit behind natural attraction and leisure resources, 'Jeong-Seon 5th day market' and 'Araree village' should be the core linking other related cultural resources. In order to activate tour industry and development of Jeong-Seon area, it is necessary to find identify of regional owned attraction resources and to build tourist attraction infra structure by selecting core bases of existing major attraction points and linking other various resources to those core ba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도형(2004), 카지노개발로 이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승랑(2005), 문화광광이벤트를 통한 낙후지역 개발역량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성주(1995), 폐광지역 활성화를 위한 관광단지 개발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동완, 김현정(2003),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학연구, 제 27권 3호, pp.97-114
  5. 권홍근(2000), 문경 폐광진흥지역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병기(2006), 강원랜드 카지노 개장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송용찬(2008), 카지노산업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효과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안창선(2003), 침체지역의 대체산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봉구, 이충구(2004), 강원랜드 카지노 개발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 27권 4호, pp. 289-309
  10. 이충구, 이봉구(2003), 강원랜드 개장으로 인한 강원남부 폐광지역 경제활성화 평가, 강원랜드
  11. 이홍규, 최성락(2007), 내국인카지노 설립정책이 지역개발에 미친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 21권 2호, pp. 109-124
  12. 최성락, 황혜신(3006), 강원랜드설립정책이 폐광지역개발에 미친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행정논촌, 제 44권 1호, pp.219-241
  13. 정선군관광문화포털, http://www.ariaritour.com/
  14. 태백시, 정선군, 삼척MBC(2006), 태백정선 지역사회연구
  15. 황임규(2003), AHP를 활용한 정선카지노 경쟁력분석 및 지역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홍현태(2006), 강원랜드 카지노의 시계열분해 수요예측과 정책적 시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