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Total Travel Time for a Year on National Highway Link with AADT

연평균 일일교통량을 이용한 일반국도구간 연간 총통행시간 추정 방법 개발

  • 김정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서선덕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 김태희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 Received : 2008.07.16
  • Accepted : 2008.10.21
  • Published : 2009.01.31

Abstract

The estimation of total travel time on highway link for a day or year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for the feasibility analysis of highway or railway. Most of current guidelines for feasibility studies have been based on the time-traffic volume relationship from the BPR, and the traffic volumes have been determined by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hour factor to the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volume. Both of the BPR func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hour volume may result in the over-estimation of travel time due to the fact that the traffic volume on the large portion of highway links in Korea are close to the capacities. This study proposed a new way which i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hourly volumes for a year. It could be closer to the real situation, and provide more reasonable estimation. This methodology was validated for the national highways, but may be applicable for any type of highway with the AADT.

도로 및 철도 등의 투자평가에 있어 도로부문에서 발생하는 통행시간 절감편익의 추정이 가장 중요한 부문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교통시설 투자평가지침은 BPR 함수의 시간-교통량 관계를 이용하고 있으며, 연평균일일교통량(AADT)에 첨두시간 교통량의 비율(설계시간 계수)을 곱한 교통량을 기준으로 산출되고 있다. 그러나 AADT 에 설계시간계수를 적용하는 문제와 우리나라의 많은 도로구간이 거의 용량상태에 다다르고 있는 상황 등으로 인하여 총통 행시간이 과다추정되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방식을 대신하여, 일년간 시간대별 교통량 분포를 이용하여 총통행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여 보다 현실성 있는 통행시간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 시하였다.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이 방법론의 적용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 방법론은 도로의 위계 및 유형별로 AADT를 제공하게 되면 다른 유형의 도로에 대하여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 도로용량편람.
  2. 건설교통부(2005) 도로교통량 통계연보.
  3. 철도청(200) 철도투자 평가편람.
  4. 한국개발연구원(1999) 철도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5. 한국개발연구원(2001) 도로부문 예비타당성 조사 표준지침.
  6. 한국도로공사(2005) 고속도로 교통량 조사.
  7. 한국철도시설공단(2003) 철도시설 투자평가체계 개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