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Space through Architecture Surface

건축 외피에 의한 인터페이스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황선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9.04.28
  • Accepted : 2009.06.16
  • Published : 2009.07.31

Abstract

In modern society the architecture surface involves a lot of meaning other than having simple physical functions. The interface space generated by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mong those becomes to have many significances in modern society, and plays a role of symbolic space of a city. The interface space is threshold space that connects two separate spaces and revitalize its states. Nowadays, people have many chances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interface space and also settle urban problems caused by spacial and functional discontinuity through the interface space. However, the interface space in Korea could not be built up well due to rapid growth of cities, and a lot of different natures in space and viewpoint have been appeared accordingly, which gives rise to a problem of the discontinuity of urban spa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space through architecture surface composing the major factor of a city; architecture integument in Nam-po Dong, Jung Gu, Busan City as the object of the study.

현대사회에서 건축물 외피는 단순한 물리적 기능을 넘어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 중 외피특성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 공간은 현대사회에서 많은 의의를 가지게 되었고, 도시의 상징적 공간으로써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인터페이스 공간은 두 개의 독립된 공간 사이를 연결해주고, 상태를 활성화 시키는 경계 공간이다. 인터페이스 공간에 의해 사람들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지고, 그에 따라 공간적, 기능적으로 단절되었던 도시의 문제점도 해결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급격한 도시성장으로 인해 이와같은 인터페이스 공간이 잘 형성되지 못했고, 그에 따라 공간적, 시각적으로 이질성이 많이 나타나 도시 공간의 단절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중구 남포동을 대상으로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큰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피에 의한 인터페이스 공간 특성에 관하여 연구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원(2008) 건축 외피공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 권현아(2003)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표면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길성호(2003) 수용미학과 현대건축, spacetime.
  4. 김도홍, 김정곤(2008)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외피의 복합적 의미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제7호, pp. 13-20
  5. 김선희(2006) 랜드스크레이퍼 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6. 김소희(2004) 재질감에 주는 긴장도의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0권 11호, pp. 33-40
  7. 김소희, 조경수(2007) 현대건축 외피의 정보성에 나타난 감성주의적 경향,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pp. 605-608.
  8. 김유림(2004) 도시공간의 초표피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9. 김지연(2005) 현대 건축 표면의 인터페이스로서의 Urban Screen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0. 김현정(2006) 공간과 표피성, space.
  11. 남영호, 최윤경, 전영훈(2008) 현대건축의 활성표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11호, pp. 119-128.
  12. 손현덕, 이영수(2006) 현대 건축 표피의 매개체로서의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6권 1호, pp. 197-200.
  13. 안진형, 김억(2008) 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한 건축물 외피 디자 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8권 1호, pp. 181-184.
  14. 여준기, 고은형, 최무혁(2002) 도심지 건축물의 외부 리노베이션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4호, pp. 47-55.
  15. 이병선(2007) 현대 공간 디자인의 매체적 표피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16. 이중용, 정성원(2004) 건축에서의 미니멀리즘 논의를 위한 개념적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0권 11호, pp. 147-154.
  17. 최순섭, 김형준, 전영훈, 김광현(2006) 현대건축의 타자적 경계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2권 4호, pp. 179-186.
  18. 최정석(2005) 건축 표면이 형성하는 장소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 허재한, 최왕돈(2008) 현대 건축에 나타나는 트랜스액션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4권 10호, pp. 3-10.
  20. C.N Schulz, 김광현 역(1994) 실존, 공간, 건축, 태림문화사.
  21. Meiss, Pierre von(200p0) 형태로부터 장소로, 시공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