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호교차로 분석시 초기대기행렬이 총지체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s Caused by the Initial Queue to the Total Delay Estimation in Analyzing Signalized Intersection

  • 박순표 (계명대학교 도시공학과 대학원, (주)한도엔지니어링 교통계획부) ;
  • 김기혁 (계명대학교 교통공학과)
  • 투고 : 2009.04.06
  • 심사 : 2009.06.08
  • 발행 : 2009.09.30

초록

본 연구는 신호교차로 분석시 추가지체 산정을 위하여 적용하는 초기 대기차량이 총 지체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평균교차로 지체시간을 측정하기위하여 통과차량과 대기행렬이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시험차량의 평균 지체도가 60초/대 미만 일 경우에는 세가지 지체도 산정방법이 모두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60~70초/대는 초기 대기차량을 적용한 지체도만 시험차량의 평균지체도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overall effects of the additional delay caused by the vehicle in front of the queue, at the signal, to the total delay estimation. To estimate the average vehicle delay at the signalized intersection, as survey of the queue length at the intersection and traffic coun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ll of the three delay estim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similar in that the estimation of the average delay for the test vehicle was less than 60 sec/vehicle. However, the average delay time for the vehicle in front of the queue only, was estimated at 60-70 sec/vehicle which is similar to the average delay of the test vehicle.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99) 도로용량편람 개선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 건설교통부(2001) 도로용량편람.
  3. 김성득, 박창수, 박원규(2001) 한국 도로용량편람과 HCM 2000의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결정에 관한 고찰,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9권 제5호, pp. 143-154.
  4. 원제무(1998) 도시교통론, 박영사.
  5. 이은미(2006) 단속류 과포화시 초기 대기차량 산정을 통한 구간 통행시간 추정,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6. 이은미, 김영찬, 박현석(2005) COSMOS 과포화시 초기 대기차량 추정에 대한 연구, 한국ITS학회지, 한국ITS학회, pp. 13-18.
  7. 최영훈(1997) 비모수통계학 : 이론과 응용, 자유아카데미.
  8. 하동익(1997) 신호교차로 지체체계 분석방법론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5권 제2호, pp. 83-103.
  9. Highway Capacity Manual. (2000) Extention of signal models to incorporate effect of an initial queue,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Appendix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