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traveler's travel pattern has significantly changed due to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e travel time among the traveler's pattern is the limited resource. The travelers are trying to maximize the utility of travel with the least travel cost. So, the travelers travel with their own travel time budget in mind, which they can pay or choose to pay for the optimal maximization of the utility of the individuals. This research is to group and extract the specific factors which affect the travel time budget by utilizing the CART analysis method, which enables the analysis of traveler's characteristic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002 Household Travel Practice Research" and then try to derive a model for estimating the traveler’s travel time budget. The result of CART analysis shows tha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travel time budget include the traveler's age, size of house, type of house, type of employment, job and relation to the head of household. Considering the affecting factors derived, I developed an estimation model. From that model, we found that the age, size of house and type of house were positively (+) related to the travel time budget while the homeworking people who have less travel frequency as a type of employment were negatively (-) related to it. In particular, from the point of type of job, the housewives, children not yet old enough to attend schools and people who are working in the agricultural, or marine product industries were found to have the negative (-) value while the people who have the administrative, office, management job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 value.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통행자 패턴은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통행자 패턴 중 통행시간은 통행자에게 제한된 자원에 해당한다. 통행자들은 이 제한된 자원을 자신의 활동에 적절히 투입하여 효용을 극대화 하려고 한다. 즉 통행에 대해서 지불 할 수 있는 혹은 개인의 효용극대화를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고유의 통행시간예산을 가지고 통행한다. 본 연구는"2002년 가구통행실태조사"에서 수집된 통행자 특성 변수들을 토대로 상호관련성 및 특성분류가 가능한 CART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통행시간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요인에 대한 그룹화 및 추출화를 수행하며, 그에 따른 통행자 통행시간예산 추정 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CART 분석 결과, 통행시간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 주택규모, 주택종류, 고용형태, 직업, 세대주 관계 등으로 나타났고, 도출된 영향요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정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 나이, 주택규모, 주택종류가 전반적으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에서 상대적으로 통행의 빈도가 낮은 재택근무가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의 경우 주부 무직 미취학아동과 농업 어업 수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음(-)의 값을, 행정 사무 관리직이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