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rther Treatment of Constructed Wetland Effluent using Filter Materials

여재를 이용한 인공습지 유출수 추가처리

  • 함종화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형중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 김영경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Received : 2009.03.13
  • Accepted : 2009.06.26
  • Published : 2009.08.31

Abstract

Further treatment facility using various filter materials was evaluated to treat effluent of constructed wetland. Further treatment facility was installed with 1m length in outlet of 3 constructed wetland (unplanted constructed; reed bed constructed wetland; cattail bed constructed wetland) using 3 filter materials (slag, activated carbon, oyster shell). Flow rate of three further treatment facility was 63 $m^3$/day (slag), 19 $m^3$/day (activated carbon), and 81 $m^3$/day (Oyster shell). COD removal rate of slag, activated carbon, and oyster shell was 6 %, 24 %, 1 %, and removal mass was 32 g/day, 30 g/day, and 5 g/day, respectively. All of further treatment facility was effective to removal organic materials. T-N and T-P removal rate of activated carbon was 24 % and 4 %, and slag and oyster shell was not effective to remove T-N and T-P. Overall, further treatment facility was effective to remove organic mater, constructed wetland combined with further treatment facility can remove nutrient and organic matters effectively.

본 연구는 인공습지 유출수를 추가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추가처리시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석문담수호 유입부에 설치된 인공습지 중 무식재구, 갈대식재구, 부들식재구의 하단 배수로(폭 0.3m, 수심 0.35 m)에 각각 제강슬래그, 활성탄, 굴폐각을 이용해 1.0 m 길이로 추가처리시설을 설치하였으며, 각 후 처리시설별로 유입유량을 다르게 적용하였다(제강슬래그 63 $m^3$/day; 활성탄 19 $m^3$/day; 굴폐각 81 $m^3$/day). 제강슬래그, 활성탄, 굴폐각의 COD 처리율은 각각 6 %, 24 %, 1 %로 나타났으며, 제거량은 32, 30, 5 g/day로 나타나, 모든 추가처리시설에서 유기물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N과 T-P의 제거효율은 활성탄에서 24 %와 4 %로 효과적이었으나, 제강슬래그 및 굴폐각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추가처리시설을 상대적으로 영양물질제거에 효과적인 인공습지와 연계하여 운영할 경우 영양물질 및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준원, 서정법. (2006) 활성탄의 인 흡착 특성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 한국물환경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28-134.
  2. 남범식, 이영호, 조무환. (1999) 회전생물활성탄 (RBAC) 공정을 이용한 질소 인의 동시 제거, 한국생물공학회지, Vol 14(5), pp. 606-610.
  3. 이방희, 문병현, 조인철. (2006) 굴 폐각과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P 및 NH4+-N 제거, 한국환경분석학회지, Vol. 9(1), pp. 55-62.
  4. 조준형, 조정원, 이용원, 임택준. (2004) 굴폐각을 이용한 제지폐수 처리, 종이 펄프기술, Vol. 36(4), pp. 60-66.
  5. 한국농촌공사. (2008) 담수호 수질개선시험조사 및 실용화 보고서.
  6. 함종화, 윤춘경, 구원석, 김형철, 신현범. (2004) 인공습지를 이용한 하구담수호 유입하천수 수질개선 현장실험 결과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Vol. 46(5), pp. 141-153.
  7. 함종화, 윤춘경, 구원석, 김형철, 신현법. (2005)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에 의한 저농도 고유량의 하천수질개선 효과 분석, 한국농공학회지, Vol. 47(1), pp. 79-91.
  8. Kadlec, R.H. and Knight, R.L. (1996) Treatment Wetlands, Lewis publisher, New York, pp. 415-442.
  9. Reed, S.C., Crites, R.W. and Middlebrooks, E.J. (1995) Natural Systems for Waste Management(2nd ed.), McGraw-Hill, New York, pp. 173-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