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1) - Assessment of Functions by HGM : Focussing on Boryung Dam -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1) -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 신한규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 김덕길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 김형수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유병국 (인천시립대학교 E-비즈니스과) ;
  • 안경수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 ;
  • 박두호 (한국수자원공사 정책경제연구소)
  • Received : 2009.11.19
  • Accepted : 2009.12.2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We defined a dam as a wetland for assessing wetland functions of man made dam. We compared Boryung dam with Upo wetland by HGM assessment. Hydrologic functions of Boryung dam are not good at short term water storage, but good at long term water storage. Biogeochemical functions of Boryung dam are about 50% of Upo wetland's functions. Boryung dam is a good wetland as a plant habitats and animal habitats. But functions as a habitat for birds were not good. With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making clear merits and demerits of Boryung dam’s functions as a wetland.

댐의 습지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댐도 하나의 습지로 정의하고, HGM 습지 평가 방법에 따라 보령댐을 우포늪의 습지 기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보령댐의 습지로서 수문학적 기능은 단기적이고 작은 흐름들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가지지만, 반면 장기적이고 큰 흐름들에 대해서는 강점을 가진다. 생지화학적 기능은 우포의 약 50%정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서식처로서의 기능도 식물 군집의 유지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은 우포늪에 준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다만 조류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보령댐의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하여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강 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우포늪의 생태치수기능 개선 방안 연구, 2007.
  2. 김재근, 습지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자연보전 123권, pp. 15-22, 2003.
  3. 여준호, 김광일, 문현주, 신지현, 이정인, 환경을 고려한 다목적댐의 가치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4. 한국수자원공사, 보령다목적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 2006.
  5. 한국수자원공사, 댐습지의 기능과 가치평가 방법의 개발, 2009.
  6. 환경부, 한국의 습지 유형 분류 체계, 2008.
  7. Arp, C.D. and Cooper, D.J., Analusis of sediment retention in western riverine wetlands: The Yampa river watershed, Colorado, USA.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33, pp. 318-330, 2004.
  8. Hauer, F.R., Cook, B.J., Gilbert, M.C., Clairain, E.J.Jr., and Smith, R.D., A Regional Guidebook for Applying the Hydrogeomorphic Approach to Assessing Wetland Functions of Riverine Floodplains in Northern Rocky Mountains.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2.
  9. Hoggan, D.H., Floodplain Hydrology and Hydraulics 2nd Edition. McGraw-Hill, 1996.
  10. Mitsch, W.J. and Gosselink, J.G., Wetlands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2007.
  11. Ramsar Convention, Strategic Framework and Guidelin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List of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of the Convention on Wetlands. 2005.
  12. Smith, R.D., Ammann, A., Bartoldus C., and Brinson M.M., A Guidebook for Application of Hydrogeomorphic Assessments to Riverine Wetlands.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5.
  13. Tjorve, E., Shapes and functions of species-area curves: a review of possible models. Journal of Biogeography. Vol. 30, pp. 827-835, 2003. https://doi.org/10.1046/j.1365-2699.2003.00877.x
  14. Wardrop, D.H., Kentula, M.E., Jensen, S.F., Stevens, D.L.Jr., Hychka, K.C., and Brooks, R.P., Assessment of wetlands in upper Juniata watershed in Pennsylvania, USA using the hydrogeomorphic approach. Wetlands. Vol. 27, pp.432-445, 2007. https://doi.org/10.1672/0277-5212(2007)27[432:AOWITU]2.0.CO;2
  15. Wilder, T.C. and Roberts, T.H., A Regional Guidebook for Applying the Hydrogeomorphic Approach to Assessing Wetlands Functions of Low-gradient Riverine Wetlands in Western Tennessee.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