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 in the Littoral Zone of the Upo Wetland

우포늪 연안대에서 매자기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

  • 서혜란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박상용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 오경환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9.09.16
  • Accepted : 2009.10.30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Seasonal changes of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biomass of Scirpus fluviatilis, a aquatic emergent vascular plant, were investigated to reveal the phenology and the population dynamics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restoration counterplan of the wetland vegetation in the littoral zone of the Upo wetland,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Korea from March 2006 to November 2006. Scirpus fluviatilis was distributed commonly in Upo, Mokpo, Sajipo, Jokjibyeol, and Topyeongcheon upstream and downstream of Upo wetland, and the density was highest in Mokpo. Distribution range for the water depth was 9~49cm, and the highest shoot density in 26~49cm, and the mean shoot density was $119/m^2$, and the mean shoot length was 122.3cm on May 28. The number of the tuber was $104.5/0.25m^2$, and the living tubers were 84.2%. The mean fresh biomass of the living tubers was 3.0g, and those of 1~4g was most as 57.9%. Germination rates of the living tubers was 43.8%, and the maximum rate was in 7~9g and more than 10g. In the pot cultivation, the shoot density of the germinated tubers and the dormant tubers were highest as 13.5 and 9.7, respectively in early August. In the field study, the shoot density had few change before typhoon damage, while the density increased abruptly in November after flooding accompanied with the typhoon 'Ewiniar'. The shoot length in the pot cultivation and in the field study were 100~116cm and 60~170cm, respectively in the growth-end. Biomass allocation rates into the stem, leaf, flower, and underground parts were 8.9%, 6.6%, 0%, and 84.5%, respectively in the pot cultivation of the germinated tubers, and those of the dormant tubers were 7.1%, 7.1%, 0%, and 85.8%, respectively. The tuber number increased to 1.4~4.1 times by the growth-end, so it is concluded that Scirpus fluviatilis is mostly propagated by the vegetative reproduction.

수생 정수식물인 매자기(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를 규명하여 연안대식생의 복원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2006년 3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매자기의 계절에 따른 생장 특성 및 부위별 생물량을 조사하고 화분 재배 실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매자기는 우포늪의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 토평천 상.하류 등에 고루 분포하는데, 특히 목포의 밀도가 높았다. 매자기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 중 5월 28일 조사에서 매자기의 분포 수심은 9~49cm 범위였는데, shoot 밀도는 수심 26~49cm에서 높았고, $m^2$당 shoot 밀도는 평균 119이며, 초장은 평균 122.3cm이었다. 지하부의 괴경 밀도는 104.5개/$0.25m^2$으로 생존 괴경은 84.2%이고 사망 괴경은 15.8%였다. 생존 괴경의 평균 생중량은 3.0g인데, 1~4g의 괴경이 57.9%로 가장 많았다. 생존 괴경 중 이미 발아한 괴경은 43.8%였으며, 새싹이 1개(29.0%)인 것이 가장 많았고, 7~9g 및 10g 이상의 괴경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재배 실험에서는 8월초에 shoot 밀도가 발아괴경과 휴면 괴경에서 각각 13.5 및 8.7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현지 조사에서는 매자기의 shoot 밀도가 태풍 피해 이전에는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태풍 '에위니아(Ewiniar)'로 인한 침수 후 모두 고사하였고 11월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초장은 재배 실험에서 100~116cm 및 현지 조사에서 60~170cm까지 생장하였다. 생육기 말에 화분에서 재배한 매자기의 생물량 분배 비율은 발아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 줄기 8.9%, 잎 6.6%, 화서 0%, 지하부 84.5% 등이고, 휴면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는 줄기 7.1%, 잎 7.1%, 화서 0%, 지하부 85.8% 등으로서 모두 지하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생육기 말에 화분 속의 괴경 수가 1.4~4.1배 증가한 것으로 보아 매자기는 영양생식으로 주로 번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 김철수, 오경환, 우포늪에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식물상, 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한국습지학회지, 제9권, 제2호, pp. 45-55, 2007.
  2. 김구연, 이찬우, 윤해순, 주기재, 낙동강 하구의 수생관속식물의 분포 변화와 수금류(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세모고랭이의 성장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제28권, 제5호, pp. 335-345, 2005.
  3. 김성봉, 신효중, 복원비용을 통한 습지의 가치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제8권, 제2호, pp. 84, 2006.
  4. 김태근, 이팔홍, 오경환,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 군집의 현존식생도, 현존량 및 1차 생산성, 한국습지학회지, 제9권, 제2호, pp. 33-43, 2007.
  5. 류응선, 정양호 연안대에서 유전마름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 석사학위 논문, 경상대학교, pp. 1-8, 1988.
  6. 민금숙, 줄과 애기부들의 생장에 의한 저토 내의 질소형과 인형의 변화,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p. 1-2, 1992.
  7. 손영걸, 최성환, 김시론, 박언정, 박동만, 이중주, NaCl에 의한 새섬매자기와 벼의 무기이온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제23권, 제4호, pp. 343-350, 2003.
  8. 손영걸, 최성환, 이중주, 새섬매자기와 벼에서 NaCl Stress에 의해 유기되는 과산화적 손상 및 항산화효소의 활성변동, 한국잡초학회지, 제21권, 제4호, pp. 342-348, 2001.
  9. 양항승, 전재철, 문영희(a), 서해안 간척답에 있어서 다년생잡초 매자기 방제에 관한 연구, 제1보 매자기의 분포, 한국작물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60-63, 1978.
  10. 양항승, 전재철, 문영희(b), 서해안 간척답에 있어서 다년생잡초 매자기 방제에 관한 연구, 제2보 매자기의 생리생태적 특성, 한국작물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64-73, 1978.
  11. 양항승, 전재철, 문영희(c), 서해안 간척답에 있어서 다년생잡초 매자기 방제에 관한 연구, 제3보 약제에 의한 방제, 한국작물학회지, 제23권, 제1호, pp. 74-80, 1978.
  12. 양해경, 김옥경, 매자기 괴경의 발아에 미치는 환경 요인들,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pp. 127-128, 1992.
  13. 오경환, 수생관속식물이 호소생태계의 부영양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pp. 47, 1990.
  14. 육창수, 석귀덕, 도상학, 양한석, 유승조, 김태희, 정시련, 도정애, 문영희, 김일혁, 노재섭, 김종원, 약용식물학개론, 진명출판사, p. 85, 1979.
  15. 이창복a,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1980.
  16. 이창복b,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 914 + 910, 2003.
  17. 창녕군, 우포, 목포늪 생태계 보전 방향, 경남개발연구원, 396p, 1997.
  18. 최성환, 손영걸, 주경섭, 이영한, 최용조, 김학윤, 이철호, 유용만, 이중주, 간척지 우점잡초인 새섬매자기와 벼의 무기양분 흡수특성 및 생장의 차이, 제20권, 제4호, pp. 264-269, 2000.
  19. 환경청, 우포늪, 주남저수지 생태계 조사, 환경청, 212p, 1987.
  20. Graneli, W and Solander, D., Influence of aquatic macrophytes on phophorus cycling in lakes, Hydrobiologia 170: pp. 245-266, 1988. https://doi.org/10.1007/BF00024908
  21. Sculthorpe, C.D., The biology of aguatic vascular plants, Edward Arnold Ltd, London, 610p, 1967.
  22. Wetzel, R.G., Limnology, Saunders, Philadelphia, PA, 743p,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