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ility Evaluation of Cleaning Agent for Ceramics

토기 및 도자기 유물에 사용되는 보존처리용 세척제의 안정성 평가

  • Park, Daw-Woo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ang, Hyun-Mi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Nam, Byeong-Jik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ang, Sung-Yoon (Restoration Technology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박대우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강현미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남병직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Received : 2009.11.16
  • Accepted : 2009.12.02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To do conservation for ceramics, sometimes it needs to clean the ceramics chemically to remove stains on the ceramics, which should be performed with caution. This study will provide quantitative data about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elements from ceramics through the soaking test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ceramic cleaning agents. As soft textured pottery(fired at $700^{\circ}C$) had high absorption, it showed higher extraction characteristics in short soaking time. Especially the strong acid among chemical cleaning agents caused the expoliation and the color change on the surface of soft textured pottery. But these color change had no effect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ft textured pottery. The hard textured pottery(fired at $1,000^{\circ}C$) is relatively stable in the cleaning agent because it is ascertained the extraction of that was not enough and also it had little chromatic and physical change by strong acid. Porcelains(Celadon, Whiteware and Puncheong ware) was safer than the soft textured pottery due to their low extraction. But it should take precautions to clean the porcelains with lots of cracklewares such like Puncheong ware chem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their cracklewares.

토기 및 도자기 유물의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화학적 세척과정이 필요하며, 그 과정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세척제가 토기 및 도자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침적실험을 수행하여 주성분원소의 용출특성에 대해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질토기는 재질이 약하고 흡수율이 커서 짧은 침적 시간에도 큰 용출특성을 가졌고 강한 산성에 의해서 표면 박락과 색의 변화가 발생했다. 그러나 이러한 색의 변화는 물리적인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경질토기에서는 용출량이 미비하고 강한 산성에 의한 색차변화와 물리적인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세척제에 대해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자기(청자, 백자, 분청사기)에서는 용출량이 미비하여 시료의 안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도자기 유물에서는 빙렬이 용출특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분청사기 같은 빙렬이 발달된 유물에 적용할 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 복원의 세계 토기.자기". p9-13, (2007).
  2.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전라북도, "군산 비안도 해저유적". p188-191, (2004).
  3. 함철희, "도자기 표면 금속오염물 제거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7-48, (2007).
  4. 이주완, "습포제를 이용한 석조문화재의 페인트 오염물제거방법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5-66, (2009).
  5. Cronyn, J.M., 1992, "The elements of archaeological conservation". Routledge, London, (1992).
  6. Henry W.M., Hodges, "In situ-archaeological conservation: proceedings of metings April, 1886, Mexico". Institute national de antropologiae historia, Maxico city, Mexico, and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Los Angeles, California, p114-149, (1987).
  7. Susan Buys, Victoria Oakley,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eramics". Butterworths-Heinemann, London, (1993).
  8. Frank G. Matero, Alberto A. Tagle, "Cleaning, iron stain removal, and surface repair of architectural marble and crystalline limestone: The metropolitan club". Juurnal of the America Institute for Conservation, 34, p49-68, (1995). https://doi.org/10.2307/3179435
  9. Tokunaga, S., Hakuta, T., "Acid washing and stabilization of an artificial arsenic-contaminated soil". Chemosphere, 46, p31-38, (2002). https://doi.org/10.1016/S0045-6535(01)00094-7
  10. Jang, M., Hwang, J.S., Choi, S.I., Park, J.K., "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and washing effluents". Chemosphere, 60, p344-354, (2005).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04.12.018
  11. Alam, M.G.M., Tokunaga, S., Maekawa, "Extraction of arsenic in a synthetic arsenic-contaminated soil using phosphate". Chemosphere, 43 p1035-1041, (2001). https://doi.org/10.1016/S0045-6535(00)00205-8
  12. 김효식, 최상일, "사격장 납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토양세척시 Hcl과 EDTA의 영향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3, p60-66, (2008).
  13. 김태석, 김명진, "비소와 중금속으로 오염된 광미의 정화: 토양세척에 의한 비소 제거". 대한환경공학회지, 30,p808-816, (2008).
  14. 김성규, 권경중, 이화영, 오종기, "Oxalic Acid에 의한 국내 저품위 고령토의 탈철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현-한국시스템공학회지), 34, p99-104, (1997).
  15. 문종수, 최태현, "도자기 공학 1 -기초편-". 두양사, p183-210, (2003).
  16. 한국표준협회, "KS L 4008 -도자기의 흡수율, 부피비중,겉보기비중 및 겉기공률의 측장방법-". 한국산업규격,(1996).
  17. 오영우, "세라믹스의 분석과 계산". 경남대학교 출판부,p33-173
  18. 한봉희, "X-선 회절". 반도출판사, p496-497, (1999).
  19. Commission international de I'Eclairage, "Calorimetrysecond edition". Publication CIE, No. 15, (1986).
  20. 한민수, "해저인양 고려청자의 산지추정에 관한 과학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p58-63,(2006).
  21. 강경인, "강진 삼흥리 요지 E, F지역 토기.청자의 과학적분석". 강진 삼흥리 요지, 국립광주박물관, p388,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