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gment Analysis and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Wall Paintings in Gwanyongsayaksajeon (Yaksajeon Hall of Gwanyongsa Temple), Changnyeong, Korea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 Chun, Yu-Gu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Won-Kuk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o, Young-Hoo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an, Doo-Roo (Hanrim Conservation & Technology) ;
  • Kim, Sun-Duk (Seoj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Co. Ltd.)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전유근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원국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한두루 (한림보존테크) ;
  • 김선덕 (서진문화유산(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09.10.13
  • Accepted : 2009.11.30
  • Published : 2009.12.20

Abstract

We have investigated chemical properties of the pigments and carried out the deterioration diagnosis using nondestructive techniques of the wall painting in Yaksajeon Hall of Gwanyongsa Temple. As the results of pigments analysis, it was unusual that the cobalt was detected in the blue and green colors used to traditional paint background.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diagnosis, ultrasonic measurement and infrared thermography, dominant cracks and exfoliation caused by high content of moisture. Therefore, it should be devised effective plan to prevent penetration of water for the long term this wall painting.

이 연구에서는 비파괴 기법을 활용하여 관룡사 약사전 벽화에 채색된 안료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손상유형에 따른 정밀진단을 통해 훼손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색상에 따른 추정 안료는 기존의 연구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청색계통과 화조화의 바탕으로 채색된 녹색계통의 안료에서 검출된 Co는 지금까지 전통 채색 안료에서 확인 된 바 없는 특이한 결과이다. 훼손도 진단을 위해 초음파 측정, 적외선 열화상 촬영 등을 실시한 결과, 관룡사 약사전벽화에 발생한 균열 및 박리 박락은 수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벽화의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벽화로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경로를 정확히 파악하고 효율적인 주변환경 관리를 통해 장기적인 보존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형권, "아름다운 山寺". 가림출판사, p96-98, (2004).
  2. 문화재관리국, "한국의 고건축 제13호". 문화재연구소,p1-30, (1991).
  3. 이숙연, "고대단청의 분석학적 연구(I)". 논문집, 3,p317-320, (1963).
  4. Winter, J., "한국 고대안료의 성분분석". 미술자료, 43,p1-36, (1989).
  5. 홍종옥, 정광용, "금산사 벽화 안료성분에 관한 비교 분석". 보존과학연구, 13, p73-82, (1992).
  6. 김사덕, 이은희, 엄두성, 조남철, "봉정사 극락전 벽화조사(I)". 보존과학연구, 20, p175-207, (1999).
  7. 조남철, 문환석, 홍종옥, 황진주, "경복궁 근정전 단청안료의 성분분석". 보존과학연구, 22, p93-114, (2001).
  8. 조남철, 홍종옥, 문환석, 황진주, "봉정사 극락전 벽화안료의 재질분석 연구(II)". 보존과학연구, 21, p119-144,(2001).
  9. 한민수, 홍종옥,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쌍계사 탱화 안료를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4, p131-152,(2003).
  10. 한민수, 홍종옥, "일월오악도 안료에 대한 과학적 분석". 보존과학연구, 26, p165-188, (2005).
  11. 건국대학교 회화보존연구소, "무위사 극락전 내벽 사면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p47-75, (2006).
  12. 한림보존테크, "흥국사대웅전수월관음벽화 및 무사전외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여수시청, p58-80, (2008).
  13. 홍종옥, "백색안료의 구조 및 조직관계(방해석과 아르고나이트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18, p35-47, (1997).
  14. 이명성, 이찬희, 김지영, "감은사지 석탑(서탑)의 정량적 풍화훼손도 평가기법".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102-104, (2006).
  15. 이선명, 이찬희, 김지영, 최석원,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정밀 훼손도 진단과 미기상환경 분석". 한국문화재보존 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5, p18-19, (2007).
  16. 조영훈, 이찬희, 조성남, 전유근, 신재호, "비파괴기법을 활용한 마곡사오층석탑의 안전진단과 정량적 훼손도평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7, p7-8, (2008).
  17. 이태종, "한국 사찰 토벽화의 안전진단 방안 연구: 초음파속도법을 이용한 안전진단을 중심으로". 경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p1-73, (2003).
  18. 강형규, "열화상 기법을 이용한 구조물 결함에 대한 실험적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p16-46, (2007).
  19. 한경순, "사찰벽화의 주변환경에 의한 손상원인과 보존방안". 문화재과학기술, 2, p155-167,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