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uard System in the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

  • Received : 2009.10.31
  • Accepted : 2009.12.18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 guard system in the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at the time of the struggle of invading world powers and the loss of the Dynasty rights, was strengthened to protect the Royal family and the Dynasty from the attacks of foreign powers. While investigating both the military system and the guard system from the beginning of King Gojong's direct royal governing to the time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e realize that the Joseon Dynasty not only lost the support of the public but also had little power to cope with the aggression of foreign countries. The reformation and strengthening by Daewongun, King Gojong's father, was made in preparation for King Gojong's direct royal rule. Nevertheless, the intervention of foreign countries in the domestic affairs of the Joseon Dynasty got worse. As opposed to their intervention, Queen Minbi had engaged in politics, which resulted in murderous attempts on her. The Joseon Dynasty had tried to reform and intensify the guard system. New names such as Muwiso, Chingunyeong, and Siwidai, had been given respectively. Such reformation and intensification had little effect because of two successive victories at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of Japan. Japan occupied the Joseon Dynasty by force after all. The guard system of Daehan-jeguk(the Empire of Korea) was eventually incapacitat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was raised instead. However, The state of things and the guard system at that incapacitated period gives a good less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guard system at the present day.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은 개항 이후의 고종의 친정, 그리고 대한제국시대의 국내외적으로 위기에 처한 시대의 왕실호위제도에 대한 고찰이다. 그러나 이 시대의 호위제도를 이해하기 위하여 1863년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집정하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60년간의 세도정치로 인하여 문란해진 왕권을 강화하고 국방력강화와 비변사를 폐지하며 종전의 삼군부로 부활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왕권 강화에 도움을 주었고 허약했던 중앙군을 강화하여 상비군을 늘리고 군기를 숙정하게 되었으며 신무기를 개발하는 등 군사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대원군 실각 후 고종이 친정을 했다고 하나 대원군과 민비세력과의 불화로 인한 불안에 대처하여 궁궐 숙위를 전담하는 무위소를 설치한 이래, 2군영 제도 실시의 친군영, 용호영의 부활, 시위대 친위대 등으로 이어진 갑오개혁까지의 호위체제의 변화는 법제적인 것이 아니었고 일본, 청국, 러시아 등 외세의 변화상황에 따라 주체적으로 힘을 다한 것이었다. 일본이 침략경쟁에서 승리한 이후 독무대가 되는 상황의 변화로 인해 대내의 국가수호에 대한 노력의 효과가 약화되었으며, 더욱이 갑오개혁 이후 경무청 내에 왕실 업무를 담당하는 경무서를 둔 것과 대한제국시대의 경무서를 경위원과 황궁경위국으로 개편되었던 제도역시 일본의 영향 아래 들어가게 되어 무력화되었다. 그러나 역경에서 이루어진 그 노력과 분투의 과정은 역사에 길이 빛날 것이다. 따라서 왕실을 호위하는 세력이 일본에 넘어간 대한 제국시대의 호위제도와 모든 상황전개는 제도가 아무리 완벽하게 수립되어 있을지라도 국력이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할 때 왕실의 호위제도는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는 역사적 교훈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