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ldren of Divorced Families

이혼 가족 아동

  • 박경자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최혜영 (창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한준아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9.08.22
  • Accepted : 2009.11.11
  • Published : 2009.12.31

Abstrac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divorced families during the past 10 years in Korea. Divorce imposes a great impact on their children as well as divorcees. As many as 1.41 million children under 20 years-old have experienced their parents' divorce in past 10 years. Children are faced with much difficulty in adjustment after the parental divorce. Issues of the research and policy on the divorced family are discussed in this study. For future studies, a longitudinal research model, father-custody and grandparent-custody families, custody parents's gender, a theoretical model for Korean divorced families should be considered. New legislations have been recently enacted to enhance children's well-being, but further efforts such as the involvement of child development specialists in the divorce process should be followed in the pursuit of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공선영(2000). 모자 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 곽배희(1994). 이혼 원인 및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권영미(1999).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금명자.송미경.김수리.이수림.송은아(2005). 이혼가정 자녀를 위환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5. 김만응(2004). 우리나라 이혼절차에서의 조정기능 강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6. 김미숙.박민정.이상헌.홍석표.조병은.원영회(2000). 저소득 편부모 가족의 생활 실태와 정책과제.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미숙.원영회.이현송.장혜정(2005). 한국의 이혼 실태와 이혼가족 지원정책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김승경(2004). 이혼 가정 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위험-보호 요인들 간의 경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9. 김승권.김태진.김유경.송수경(2001). 최근 가족 해체의 실태와 정책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김영희.김갑숙.최외선(1995). 편모가정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113-127.
  11. 김은정.백혜정(2007). 이혼으로 인한 '가족상실', '경제소득', 및 '양육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9(3), 79-103.
  12. 김혜영.변화순.윤홍식(2008). 여성의 이혼과 빈곤 : 직업과 소득의 변화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0(2), 37-63.
  13. 민미회.이순형.이옥경(2005). 부모의 이혼여부 및 아동의 연령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지지 지각과 내면화 문제. 대한가정학회지, 43(11), 109-125.
  14. 박병금(1997). 이혼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사회사업개입의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법원행정처(2008). 사법연감. 서울 : 법원행정처.
  16. 변화순(1996). 이혼 가족을 위한 대책연구.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17. 서지영(2002).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연성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성정현(1998). 이혼여성들이 경험하는 사회 심리적 문제와 대처전략. 사회복지연구, 11, 53-78.
  19. 성정현.양심영(2006). 이혼숙려제의 제도화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가족과 문화, 18(2), 139-163.
  20. 양연순(1994).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 개념 및 성격특성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여성신문(2008. 3. 7). 양육비 기껏해야 70만원대.
  22. 염동훈,김혜민,안치민(2008). 조손 가족 실태 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 서울 : 여성가족부.
  23. 오은순(1997). 이혼 가정 아동의 적용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구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4. 오은순(2001). 이혼가정 아동의 적응을 위한 학교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열린교육연구, 9(1), 19-45.
  25. 윤주애(2002).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6. 이명철(2008). 2008년 개정민법에 따른 협의이혼절차. 가족법연구, 22(3), 205-264.
  27. 이태영(1968). 한국의 이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8. 임춘희(1996). 재혼가족 내 계모의 스트레스와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9. 장혜경.민가영(2002a).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30. 장혜경.민가영(2002b). 재혼가족의 적응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여성개발원.
  31. 전명희(2005). 자녀 양육 협의를 위한 이혼 중재 서비스 고찰. 청소년상담연구, 13(1), 17-30.
  32. 전숙영(1996). 이혼과 재혼에 대한 아동과 청소년의 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정문자.김은영(2005). 이혼 부모와 자녀의 건강한 사회 적응을 위한 통합적 집단치료 모형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3(3), 161-183.
  34. 정연옥.이민규(2006). 이혼가정 자녀의 스트레스 완충의 조절효과로써 부모양육태도와 유기공포.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1(4), 689-708.
  35. 정연옥.이민규.김은정(2007). 이혼가정 자녀의 유기공포 및 상실지각과 불안 및 우울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2(1), 171-188.
  36. 정현숙(1993). 부모의 이혼에 따른 자녀들의 적응. 아동학회지, 14(1), 59-75.
  37. 정현숙.서동인(1997). 편모 가족의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가족자원 및 심리적 적응, 아동학회지, 18(2), 163-176.
  38. 정현숙.유계숙.임춘희.전춘애.천혜정(1998). 재혼가족에 대한 실태 및 재혼생활의 질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4), 1-49.
  39. 주소희(1991). 이혼가정자녀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0. 주소희(2002). 이혼가정자녀의 부모 이혼 후 심리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9, 77-106.
  41. 최재석(1981). 한국가족의 해체에 관한 연구. 서울 : 정신문화연구원.
  42. 통계청(2009). 2008년 이혼 통계 결과. 대전 : 통계청.
  43. 한경혜(1993). 한국 이혼 부부의 적응과 관련 변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가족학연구회(편). 이혼과 가족문제. 서울 : 도서출판 하우.
  44. 한준아.박경자(2008). 저소득층 이혼 가족 아동의 적응에 있어 보호요인 탐색 : 아동의 대처 전략, 부모 양육 유형, 부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한가정학회지, 46(8), 1-15.
  45. 허미화(2004). 이혼가정 자녀의 사회적 적응을 돕는 방안들에 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9(4), 339-356.
  46. 현은민(2003). 재혼가정의 아동 :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경험하는 문제와 대책 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101-126.
  47. 홍순혜(2004).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양육부모의 경제수준 및 양육행동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7, 151-170.
  48. Amato. P. R., & Keith, B. (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 126-146.
  49. Block, J. H., Block, J., & Gjerde, P. F. (1986). The personality of children prior to divorce : A prospective study. Child Development, 57, 827-840. https://doi.org/10.2307/1130360
  50. Camara, K. A., & Resnick, G. (1987). Interpersonal conflict and cooperation : Factors moderating children's post-divorce adjustment. In E. M. Hetherington & J. D. Arasteh(Eds.), Divorced, single-parent, and stepparent families(pp.169-196). Hillsdale, NJ : Erlbaum.
  51. Emery, R. E. (1999). Marriage, divorce, and children's adjustment. Thousand Oaks, CA : Sage.
  52. Guidubaldi, J., & Perry, J. D. (1983). The legacy of parental divorce, School Psychology Review.
  53. Haapasalo, J., & Tremblay, R. E. (1994). Physically aggressive boys from age 6 to 12 : Family background, parenting behavior and prediction of delinquenc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1044-1052. https://doi.org/10.1037/0022-006X.62.5.1044
  54. Hetherington, E. M., & Kelly, J. (2002). For better or for worse : Divorce reconsidered. NY : Norton.
  55. Kelly, J. B. (2000). Children's adjustment in conflicted marriage and divorce : A decade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9, 963-973. https://doi.org/10.1097/00004583-200008000-00007
  56. Kim, L. (2003).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parental divorce. Family Relations, 52, 258-270.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3.00258.x
  57. Morrison, D. R., & Cherlin, A. J. (1995). The divorce process and young children's well-being :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7(3), 800-812. https://doi.org/10.2307/353933
  58. Peterson, J. L., & Zill, N. (1986). Marital disrupti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 295-307. https://doi.org/10.2307/352397
  59. Santrock, J. W., & Warshak, R. A. (1979). Father custody and social development in boys and girls. Journal of Social Issues, 35, 112-12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9.tb00816.x
  60. Shapiro A., & Lambert J. (1999). Longitudinal effects of divorce on the quality of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and on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 397-408. https://doi.org/10.2307/353757
  61. Wallerstein, J. S., Lewis, J. M., & Blakeslee, S. (2000). The unexpected legacy of divorce : The 25 year landmark study. NY : Hyper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