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f Kindergarten Experiences of First Graders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통해 본 유치원 생활의 의미

  • Hwang, Hae-Soo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lla University) ;
  • Son, Won-Kyo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lla University)
  • 황해수 (신라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손원경 (신라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09.06.30
  • Accepted : 2009.09.11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meaning of kindergarten experiences of first graders with the us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eleven interviews per person and journal writings, the voice of participants was condensed into three categories : (1) Kindergarten life was new and delightful; (2) they were limited in assertion of their rights; and (3) they experienced separation and longing. We should understand children's experience by their explanations and give consideration to children not as objects but as subjects. By doing so, we can provide more meaningful experiences to children in kindergarten.

Keywords

References

  1. 곽금주(2002). 이동 심리평가와 검사. 서울 : 학지사.
  2. 김민진(2008).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39(1), 181-210.
  3. 양옥승(2004).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교육과정 이해. 유아교육연구, 24(4), 247-262.
  4. 유혜령(1999). 소수 민족 유아의 유치원 생활 경험; 현상학적 이해. 교육인류학 연구. 2(2), 139-170.
  5. 이기숙(1985). 한국 유아교육 기관의 시설.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II- 시설.설비모형의 적응 및 실외 환경. 서울 : 문교부.
  6. 이정금.김영란.강효정.한미라.임부연(2007). 산책활동 경험이 이끌어 주는 유아의 몸과 마음의 세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51-74.
  7. 임부연.최혜림(2006). 유아교사의 여성성 탐구 : 돌봄과 해방 담론의 아이러니. 유아교육연구, 26(5), 119-143.
  8. 임성혜.손영수(2001). 유치원에서의 유아생활세계의 긴장과 갈등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유아교육연구, 21(2), 85-109.
  9. 조경자(2005). 초등학교에 대한 유아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5(4), 81-103.
  10. 조상식(2002). 현상학과 교육학. 서울 : 원미사.
  11. Beekman, T. (1983). Human science as a dialogue with children. Phenomenology and Pedagogy, 1(1), 36-44.
  12.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Y : Collier Books.
  13. Fine, G. A., & Sandstorm, K. L. (1988). Knowing children participant observation with minors. Newbury Park, Calif : Sage Publication.
  14. Creswell, J. W. (2005). 질적연구방법론. 조흥식.정선옥.김진숙.권지성(공역). 서울 : 학지사(1998년 원저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