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on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가정환경변인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09.06.22
  • Accepted : 2009.09.11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on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Participants were 230 4- to 5-year-old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hildren and their parents located in D city, Gyeongbuk Province. Instruments were the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Test (Suk Im Lee, 2006), an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physical and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showed that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application of a literacy environment directly caused children's literacy; physical surroundings and an environment of literacy were variables that effected children's literacy indirectly.

Keywords

References

  1. 곽아정(1994).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및 가정의 문해 환경과 유아의 읽기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계수(2005).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 SPSS아카데미.
  3. 김수희(2003). 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가정 문해 환경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신(1996).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유아의 문해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은경(1988). 아동읽기능력과 가정환경에 관한 연구 : 이해력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현(2005).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진이(1996). 어머니와 유아의 대화 정도가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태선(1998). 4-5세 유아들의 가정 문해 경험과 문해 발달 수준간의 상관관계. 아동교육, 7(2), 1-6.
  9. 명현옥(2001). 가정의 문해 환경과 유아의 읽기 능력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백현옥(2002). 4-6세 유아의 가정환경과 언어 및 사고 능력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성수정(2004). SES와 언어능력.사고력의 관련 매커니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소현아(1999). 저소득층 어머니-아동간 책 읽기 상호 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문석(1983). 유아의 가정환경과 어휘력과의 관계 : 4-6세 유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유정(2005). 가정의 소득 수준과 교실 문해환경이 아동의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혜영(2001). 저소득 가정이 부모의 문해 발달 태도 및 가정 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미경(1995). 인지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읽기 능력과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경렬(2005). 저소득 가정 어머니-유아의 그램책읽기 상호작용과 유아의 언어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근영(2000). 아동의 읽기 태도와 가정의 문해 환경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문옥(1997). 5세 아동과 1학년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과 가정문해환경의 상관관계 연구. 교육학연구, 35(3), 263-281.
  20. 이성은(1998). 총체적 언어교육 : 교실적용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1. 이송주(2003).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가정의 언어적 환경과 유아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숙임(2006). 가정의 문해 환경과 유아의 언어능력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3. 이종훈(2002). 학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교육 실태 분석.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정주(2000). 부모의 학력 및 유아의 언어적 가정환경과 언어능력과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학식.임지훈(2007).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Amos 6.0. 법문사.
  26. 임아혜(1996). 유아의 언어발달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영애(1981). 가정환경변인과 4-6세 아동의 언어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지연(2005). 아동의 가정 문해 환경과 인쇄물 개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정혜섭(2000). 가치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문현(1978). 아동의 언어적 표현과 사회계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해주(2007).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 변인 간의 경로모형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찬회(2006). 만 2세 영아의 문해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가정문해 환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황현이(2005). 가정의 소득수준과 아동의 언어능력 및 가정 문해 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홍두승(1982). 한국사회계층연구를 위한 예비적 연구. 법문사.
  35.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36. Berstein, B. (1971). Class, Codes and Control(Volume 1) London : Rouledge & Kegan Paul.
  37. Brabham, E., G. (1996). Effects of teachers' reading aloud styles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comprehension of primary students. The Florida State University(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38.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371-399.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33
  39.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s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 Sage.
  40. Byrne, B. M. (199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 Basic concepts, application and programming. Mahwah, NJ : Erlbaum.
  41. Christian, K., Morrison, F. J., & Bryant, F. B. (1998). Prediction kindergarten academic skill : Interactions among child care, maternal education, and family literacy environment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501-521.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54-4
  42. Clark, C. H. (1995). Teaching about reading : A fluency example. Reading Horizons, 35(3), 250-266.
  43. Cochran-Smith, M. (1984). The making of a reader. N.J. : Heinemann Educationl Books.
  44. Claire, S., & Katherine, S. (2002).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SES on home literacy activitaes and kindergarten reading skills : Evidence from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ies. Paper presented at yhe 2002 NAEYC Annual Conference.
  45. Goodman, Y. M., & Haussler, M. M. (1986). Literacy environment in the home and community. In T, Duane & K.. James.(Eds), Roles in literacy learning(pp.27-32). Newark, DE :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46. Gray, L. S. (1995). Taking from books by asking question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0, 23-28. https://doi.org/10.1080/02568549509594684
  47. Hansen, H. S. (1969). The impact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on reading attitude. Elementary English, 46, 17-24.
  48. Hoyle, R. H., & Panter, A. T. (1995). Wring about structural equal ion models. In R. H. Hoyle(E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pp.158-176). Newbury Park, CA : Sage.
  49. Jensen, A. R. (1967). Social class and verbal learning In J. P. Dececco(ED), The Psychology of Language, Thought and Interaction. New York, Pinehart and winston.
  50. Jones, P. A. (1972). Home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verbal ability, Child sDevelopment, 32, 1081-1086.
  51. Loughlin, C., & Martin, m. D. (1987). Supporting literacy. N.Y. :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52. Mason, J. M. (1990). When do children begin to read : an exploration of four year old children's letter and word reading competency. Reading Research Quarterly, 15, 203-227. https://doi.org/10.2307/747325
  53. McCormik, C., & Mason, J. (1986). Use of little books at home : A minimal intervention stategy that fosters early reading. Urbana : University of illinois,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Research, 213-231.
  54. McGee, L. M., & Richgels, D. J. (1996). 영유아의 문해 발달 및 교육. 김명순.공역. 서울 : 학지사.
  55. Morrow, L. M. (1983). Home and school correlates of early interest in literat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6, 221-230.
  56. Payne, A. C., While, G. J., & Angell, A. L. (1994). The role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bility in preschool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 427-440. https://doi.org/10.1016/0885-2006(94)90018-3
  57. Palardy, V. (1994). Childhood home and school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reading habits, altitudes, preferences and futher plans of adult avid leisure readers and literate non-readers. The university of Alabama(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58. Purcell-Gates, V. (1996).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literacy skills and functional uses of prim and children's ability to learn literacy skills. ED 372288.
  59. Silvern, S. (1985). Parent involvement and reading achievement : A review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practice. Childhood Education, 62, 44-50. https://doi.org/10.1080/00094056.1985.10520221
  60. Taylor, D. (1983). Family literacy. NH : Heinemann.
  61. Teal, W., H.,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 writing and reading.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62. Torgesen, J. K. (1998). Catch them before they fall :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to prevent reading failure in young children, American Educator, 13(4), 32-39.
  63. Walker, D., Greenwood, C., Hart, B. & Carta, J. (1994). Predictions of school outcomes based on early language produc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Child Development, 65, 606-621. https://doi.org/10.2307/113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