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ollution Loading from Kyongan Stream Watershed by BASINS/SWAT.

BASINS/SWAT 모델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오염부하 배출 특성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A mathematical modeling program called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developed by USDA was applied to Kyongan stream watershed. It was run under BASINS (Better Assessment Science for Integrating point and Non-point Sources) program, and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KTMDL monitoring data of 2004${\sim}$2008. The model efficiency of flow ranged from very good to fair in comparison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data and it was good in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like flow range. The model reliability and performance were within the expectation considering complexity of the watershed and pollutant sources. The results of pollutant loads estimation as yearly (2004${\sim}$2008), pollutant loadings from 2006 were higher than rest of year caused by high precipitation and flow. Average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rates were 30.4%, 45.3%, 28.1% for SS, TN and TP respectably. The NPS pollutant loading for SS, TN and TP during the monsoon rainy season (June to September) was about 61.8${\sim}$88.7% of total NPS pollutant loading, and flow volume was also in a similar range. SS concentration depended on precipitation and pollution loading patterns, but TN and TP concentration was not necessarily high during the rainy season, and showed a de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water flow. SWAT based on BASINS was applied to the Kyongan stream watershed successfully without difficulty, and it was found that the model could be used conveniently to assess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to estimate pollutant loading including point and non-point sources in watershed scale.

최근 상수원 수질관리에 있어서 팔당호 수질악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안천 유역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SWAT 모델을 적용하여 유역 내 점 비점오염원에 따른 오염물질 발생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향후 경안천 유역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BASINS는 유역의 오염현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가능하고 예측모형의 입력자료를 자동적으로 생성해주기 때문에, BASINS 적용을 위한 공간입력자료인 유역 경계와 하천도, DEM, 토지 이용도, 토양도 등을 tool 형식에 맞게 변환하고 입력하여 SWAT과 같은 유역모델을 연구목적에 맞게 적용할 수 있었다. 연구목적에 맞게 모델을 적절히 적용하기 위하여 유량, SS, TN, 그리고 TP순으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일별로 검 보정 하였고, 모델 통계 치와 효율 산정 및 산포도 작성을 통해 모델의 정량적, 정성적 모의특성을 판단하였다. 유량의 경우 실측값에 대한 모의 경향이 잘 반영 되었으며, SS, TN, TP의 경우 특정기간에서 과대 또는 과소평가 되었으나 유역이라는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특성과 그 안에서의 복잡한 수질기작 등을 고려해 볼 때 허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실측값을 적절히 묘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결과의 정확한 해석과 적용을 위해서는 보다 상세한 측정자료 확보 및 검 보정 작업이 필요하며, 특히 점오염원 배출현황에 대한 관측자료의 검증을 통해 이상 치들의 정확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년간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SS와 TP의 경우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른 유출량 변화가 비점오염부하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N은 점오염부하량이 매년 유사한 범위에서 산정되였으나, 유량증가에 따른 질소성분의 희석이나 산화효과로 인하여 질소농도 감소가 비점오염부하량 감소로 나타났다. 수계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에 의해 산정된 배출부하량과 비교한 결과, 총량에서는 본 연구결과가 2${\sim}$3배 가량 더 작으며, 비점오염 부하량의 경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원단위를 이용하여 부하량을 산정할 경우 유달개념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 강우유출비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라고 판단되였다. 연중 일정하게 나타나는 점오염원의 특성파는 달리,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은 강우가 집중되는 6${\sim}$9월에 61.8${\sim}$88.7%수준으로 크게 증가하며 강우유출량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TN과 TP는 평수기 및 저수기 (10${\sim}$5월)에 점오염원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저수기에 흐르는 경안천 유량의 많은 양이 용인시와 광주시에 위치한 환경기초시설의 방류량이며, 이에 따라 하절기 비점오염뿐만 아니라 저수기의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 또한 적절히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균. 2005. 소양강댐 상류 내린천 유역에서 SWAT을 이용한 BMP의 유사발생 저감 효과의 분석. 강원대 석사논문
  2. 강문성, 박승우. 2003. 비점원오염모델을 이용한 오염총량모의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6: 117-128
  3. 강문성, 박송우, 전종안. 2003. RS와 GIS-AGNPS 모형을 이용한 소유역에서의 비점오염부하량 추정. 한국농공학회지 45(1): 102-114
  4. 공동수, 윤성규, 이형진, 김병익, 박지형. 2006. 남한강수계 오염물질 유출 및 수질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II) 한강물환경연구소
  5. 김철겸, 김남원. 2008. 충주댐 유역의 오염원에 따른 오염부하량 발생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4(4): 465-472
  6.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0. http://water.nier.go.kr/wels
  7. 박경철, 안규홍, 염익태, 강선홍. 2000. 팔당호의 영양염류 예측을 위한 수질관리모형의 비교. 대한상하수도학회지 14(2):174-180
  8. 박준대, 신동석, 김문숙, 공동수, 류덕희, 정동일, 나은혜. 2008.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하천수질모델 (QUAl-NIER) 개발. 한국물환경학회지 24(6): 784-792
  9. 박지형, 공동수, 민경석. 2008. 팔당호 상류유역의 점.비점오염원 유달부하 특성-남한강.경안천 수계를 대상으로. 한국물환경학회지 24(6): 750-757
  10. 양흥모, 김혁. 2001. 발생부하원단위와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한 하천유역 오염부하량. 한국조경학회지 29(1): 22-31
  11. 유병로, 정송권, 전계원. 2004.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포형 유역수질 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접 37(11): 897-913
  12. 윤춘경, 함종화, 전지홍. 2001. SWMM과 회귀분석법에 의한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비교. 한국물환경학회지 17(2): 157-168
  13. 장재호, 김형철, 이새봄, 이승재, 신아현. 2007. 경안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삭감 시나리오에 따른 하류수질예측.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737-744
  14. 장주형, 박해식, 박청길. 2006. GIS 기반의 SWMM 모형을 이용한 하수도시스템 선정에 따른 도시하천 수질개선효과의 정량적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2(6): 982-990
  15. 정광욱, 윤춘경, 장재호, 김형철. 2007. BASINS/HSPF롤 이용한 화성유역 오염부하량의 정량적 펑가. 한국농공학회지 49(2): 61-74
  16. 최정현, 하주현, 박석순. 2008. 팔당호 수질관리 정책의 효과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1225-1230
  17. 한강유역환경청. 2007. 경안천 중권역 물환경관리계획 (2008-2012)
  18. 환경부. 2000. 팔당상수원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방안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보고서
  19. 환경부. 2003. http://egis.me.go.kr/egis
  20. 환경부. 2007. http://egis.me.go.kr/egis
  21. 황세운, 장태일, 박승우. 2006. 기후변화에 따른 농촌 소유역에셔의 비점오염 영향 분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4): 209-221
  22. 황하선. 2007. 우리나라 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 있어 유역특성을 고려한 BASINS/HSPF의 적용성 연구. 건국대 박사논문
  23. 허성구, 전만식, 박상헌, 김기성, 강성곤, 옥용식, 임경재. 2008. 고랭지 농업의 작물별 객토량 변화에 따른 토양유실 저감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4(2): 185-194
  24. Arnold, J.G., R. Srinivasan, R.S. Muttiah and J.R. Williams,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73-89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8.tb05961.x
  25. ASCE. 1993. ASCE task committee on definition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Irrigation Drainage Engineering 119(3): 429-442 https://doi.org/10.1061/(ASCE)0733-9437(1993)119:3(429)
  26. Donigian, Jr., A.S.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Slide #L19-22.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10-14 January, 2000. Presented and prepared for U.S. EPA, Office of Water,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27. Feyen, L., R. Vazquez, K Christianens, O. Sels and J. Feyen, 2000. Application of a distributed physically-based hydrological model to a medium size catchment.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4(1): 47-63 https://doi.org/10.5194/hess-4-47-2000
  28. Kang, M.S., S.W. Park, J.J. Lee and K.H. Yoo. 2006. Applying SWAT for TMDL programs to a small watershed containing rice paddy fields. J. of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79: 72-79 https://doi.org/10.1016/j.agwat.2005.02.015
  29. Nash, J.E. and J.V. Sutcliffe. 1970. River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 J. of Hydrology 10(3):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30. Jeon, J.H., C.G. Yoon, K.W. Jung and J.H. Jang. 2007. HSPF-Paddy simulation of water flow and quality for the Saemangeum watershed in Korea.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6(1): 123-130 https://doi.org/10.2166/wst.2007.443
  31. Williams, J.R. 1975. Sediment-yield prediction with universal equation using runoff energy factor, In present and prospective technology for predicting sediment yield and sources, ARS-S-40, USDA-ARS
  32. Woli, K.P., T. Nagumo, K. Kuramochi and R. Hatano. 2004. Evaluating river water quality through land use analysis and N budget approaches in livestock farming area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29: 61-74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4.03.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