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본, 문화자본과 문화산업 기술추격: 문화산업 기술추격의 경제이론

Consumption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Technology Catch-up in Cultural Industries: An Economic Model of Catch up in Cultural Industries

  • 발행 : 2009.06.30

초록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의 문화산업콘텐츠 수출이 증대되는 "한류" 현상이 대두되어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문화산업 무역이론은 이러한 후발국으로부터 문화상품의 수출을 설명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Becker의 소비자본이 기호의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인적자본으로서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문화산업에서 후발국의 "기술추격"을 합리화하는 이론모델을 제시하고 있다(rationalize), 본 연구는 공식모델의 비교정태 분석을 통하여 문화산업에서 후발국의 "기술추격"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들을 설명하고 있다.

Since second half of 1990s, Korean "Han-Ryu" focuses international attention, which means Korean cultural industries increase their exports. However, traditional theories of international trade in cultural industries could not explain this phenomenon of increasing cultural goods from developing countries. Using the fact that Becker(1996)'s 'consumption capital' can increase productivity in cultural industries as well as contribute to form 'taste' for new cultural goods. This study suggests the proper conditions for catching-up of developing countries in cultural industries through comparative statistic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