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Feed Value of Yukmijihwangtang Meal

육미지황탕박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 Cha, Sang-Woo (Daejeon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
  • Choi, Hyun-Soo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E-Soo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ung, Kang-Seok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ang, Won-Seop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ng-Joon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oo-Kee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차상우 (대전시 농업기술센터) ;
  • 최현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김이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정강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장원섭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신용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 이수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Received : 2008.10.14
  • Accepted : 2009.06.03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feed value of Yukmijihwangtang (herbal medicine) meal. In experiment 1, the chemical composition of Yukmijihwangtang ingredients was determined before and after extraction,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tial substitution of dried Yukmijihwangtang meal on TMR for fattening cattle. In experiment 2, nine Korean native male goat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palatability and ruminal parameters of Yukmijihwangtang meal silages. In experiment 1, the crude protein content after water extraction was higher in Alisma orientale Juzepczuk (Teaksa), and lower in Pachyma hoelen Rumph (Bokryeong). the crude fat content after water extraction was higher in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Sansuyu), and lower in other ingredients. ADF content after water extraction of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Sansuyu) was higher compared to those of Pachyma hoelen Rumph (Bokryeong) and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Mokdanpi). Dioscorea japonica Thunberg (Sanyak) was the lowest in ADF content. Dry matter disappearance was increased by adding Yukmijihwangtang meal to TMR. In experiment 2, feed intakes of Yukmijihwangtang silage containing molasses (0.5 and 1%) for 30 min and 6 h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0%) in Korean native goats. In various ruminl parameters, molasses addition to silage materials trended to increase total VFA, propionate and valerate contents, but trended to decrease iso-butylate, butylate and iso-valerate contents in Korean native goats. In conclusion, Yukmijihwangtang meal could be used as partial substitution of low level in TMR for fattening cattle. Molasses supplementation to silage materials contained with herbal medicine meal could improve its nutritional quality and palatability for Korean native goats. One percent level of molasses addition could give a useful effect in ensiling.

본 시험은 육미지황탕박의 사료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었다. 실험 1에서는 육미지황탕 단미재료의 열탕 추출 전후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소실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육미지황탕박으로 TMR의 0, 10 및 20%를 대체하여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2에서는 당밀의 첨가가 육미지황탕박 사일리지의 기호성과 반추위내 발효성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미지황탕박에 당밀 첨가수준을 0, 0.5 및 1.0%로 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고, 우리나라 재래산양에 대한 기호성과 반추위내 발효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 1의 결과로서, 단백질의 조성에 있어 택사는 열탕침출 후 12.5%로서 높은 편이며 복령은 0.7%로서 매우 적은 편이었다. 조지방은 산수유의 경우 추출 전 후가 각각 7.6 및 8.9%로 높은 편이지만, 나머지 재료는 1.4~4.3%의 범위였다. NDF 함량은 추출 후 기준으로 목단피, 복령, 택사 순으로 높고 숙지황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추출 후의 ADF 함량은 산수유, 복령, 목단피의 순으로 많고 산약이 가장 낮았다. 육미지황탕박의 TMR에 대한 대체 비율에 따른 건물 소실률은 육미지황탕박의 첨가비율이 높은 시험구에서 많이 감소하였는데 10% 대체 시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감소하였지만 20% 대체 시에는 0 및 10% 대체 시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2의 결과에 있어, 30분 동안 및 6시간동안의 섭취량은 당밀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섭취량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당밀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pH 및 초산의 수준에는 일정한 경향을 관찰할 수 없었고, 총산 프로피온산 발레린산의 수준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이소-낙산 낙산 이소-발레린산의 농도는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A/P 비율은 당밀 1% 첨가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육미지황탕박은 TMR 사료 등에서 낮은 범위내에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육미지황탕박은 열탕처리를 거침으로 인하여 수용성 탄수화물이 부족하므로, 당밀 등의 수용성탄수화물을 첨가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는 것은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반추위내 발효성상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없어 유용한 방법 이라고 생각된다. 첨가 수준에 있어서는 1.0% 수준이면 좋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 Dobes, G. J., Tan, L., Cohen, M. H., Mclntyre, M., Bauer, R., Li, X. and Bensoussan, A. 2005. Are national quality standards for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sufficient?. ELSEVIER.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13:183-190. https://doi.org/10.1016/j.ctim.2005.06.004
  3.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https://doi.org/10.2307/3001478
  4. Goering, H. K. and Van Soest, P. J. 1970. Forage fiber analysis. ARS, USDA Agric. Handbook.
  5. Moon. G. B., Kim, S. B., Cha, S. W., Lee, B. D. and Lee, S. K. 2007.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erbal medicine meal (Ojeoksan) silage by molasses supplementation. Korean J. Agri. Sci.; 34(1):77-84.
  6. SAS. 1996. SAT/STAT user's guide. version 8,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7. 森本宏. 1971. 動物營養學試驗法. 養賢堂.
  8. 고병대. 1995. 한약재 부산물과 비지박의 첨가급여가 면양의 영양소 소화율 및 섭취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농학석사 학위 논문.
  9. 고병대, 송영한. 1995. 한약재 부산물과 비지박의 첨가 및 급여방법이 면양의 영양소 소화율 및 섭 취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연구 6:10-23.
  10. 곽완섭, 박종문. 2003. 육계분 혐기 또는 퇴적 발효 사료 제조 시 당밀 첨가 및 펠렛화가 사료 영양적 가치 및 사료적응기의 한우 기호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5(1):87-100.
  11. 김기원, 문점동. 1981. 약용식물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 1. 우슬의 사료적 가치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23(3):270-274.
  12. 김기현, 김현진, 주종원, 이상락, 김동식, 맹원재. 1994. 건조 인삼박의 alfalfa 대체 수준이 반추위 발효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영사지 18(6):481-490.
  13. 김병기, 강삼순, 김영직. 2001. 한약부산물과 쑥 분말 급여가 재래종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1(3):208-214.
  14. 김성복. 2006. 당밀의 첨가가 한약제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농학석사 학위 논문.
  15. 김성복, 문계봉, 이봉덕, 배형철, 이수기. 2006a. 당밀의 첨가가 대시호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8(5):683-690.
  16. 김성복, 문계봉, 이봉덕, 배형철, 이수기. 2006b. 당밀의 첨가가 갈근탕박 사일리지의 품질과 산양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농업과학연구. 33(1):25-34.
  17. 농림부. 2007. 농림업 주요통계특용작물통계보고서. 농산물유통국 채소특작과. p.8.
  18. 성경일, 정종원, 김상록. 2001. 비육후기 한우수소에 있어서 한약제박 펠렛사료의 대체급여효과.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6): 873-880.
  19. 육창수, 김성만, 정진모, 정명숙, 김정화, 김승배. 1982. 한약의 약리․성분․임상 응용. 계축문화사,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