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tecede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A test of the Stress-diathesis Model

노인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소질 모델(Stress-diathesis Model)을 중심으로

  • Ahn, Joonhee (Department of Welfare for the Elderly, Hoseo University) ;
  • Chun, Mia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hongshin University)
  • 안준희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 전공) ;
  • 전미애 (총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8.11.30
  • Accepted : 2009.02.26
  • Published : 2009.05.30

Abstract

While late-life suicide has been increasing and become an important issue for public health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phenomenon and its contributing risk factors based on which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can be made. Since suicidal ideation is a major precursor to attempted and completed suicid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eal primary contributors to suicidal ide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247 community-dwelling Korean older adults (age≥60) in the mid-size city in Korea. The statistical methodology employed a robust hierarchical regression procedure that iteratively downweights outliers. Based on the stress-diathesis model, the study examined major diathesis and stressors directly explaining suicidal ideation. The study also explor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among these facto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living alone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main antecedents of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neuroticism X life events and neuroticism X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terms with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which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stress-diathesis model in explaining suicidal phenomenon of the Korean elderly. The result demonstrat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as well as the practical implic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late-life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에서 노인들의 자살문제가 점점 중요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데 비해, 자살현상과 효과적으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자살에 대한 생각은 자살 시도와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를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스트레스-소질 모델(Stress-diathesis Model)에 기반을 둔 본 연구는,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소질 요인과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이들 요인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형태(독거)와 우울증이 자살생각의 유의미한 주요 선행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증과 우울증, 신경증과 생활사건의 상호작용 효과는 자살생각에 대한 강력한 설명력을 보여줌으로써, 스트레스 소질 모델이 노인의 자살 생각을 설명할 수 있는 적절한 모델임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노인들의 자살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