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erspective of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of Yuan-hong & Ge-hong

원굉(袁宏)과 갈홍(葛洪)의 유도(儒道)관계론 연구

  • Received : 2009.08.09
  • Accepted : 2009.09.11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Confucianism and Taoism is the most representative schools in the Chinese philosophy. Through getting down to earth, they not only solved the social problem, but also accomplished a complete ideological system of their own philosophy. While examining closely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some philosophers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and they will unite the different ideological system. Xuanxue(玄學) in the Wei-jin dynasty, typically, carried thei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ness(自然) and Confucian ethical code(名敎). Against these theory, the scholars of Dongjin(東晋) dynasty tended to maintain the forming philosophical ideolog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ness(自然) and Confucian ethical code(名敎). Furthermore, they directl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This thesis is about a philosophical study of Yuan-hong and Ge-hong who was the typical schola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Donjin dynasty. Yuan-hong emphasized the utility and value of the Confucian ethical code, and he tried to find a basis of Confucian ethical code. Thus, he succeeded to the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ness and Confucian ethical code, he at last advanced a new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which is called 'Taoist foundation Confucian utility(道本儒用)'. Ge-hong,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aoist, accomplished th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which is called 'Taoist foundation Confucian branch(道本儒末)'. Yuan-hong and Ge-hong, from the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undation and utility & branch, advanced the new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In addition, we can correctly estimate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philosophy.

중국철학을 대표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학파는 유가(儒家)와 도가(道家)이다. 두 학파는 각기 다른 방식을 통해 현실의 갖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고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상이한 이론체계를 세운다. 다만 중국철학의 발전을 살펴보면 이러한 상이한 이론을 하나의 체계 속에 엮으려는 다양한 시도가 전개되었다. 대표적으로 위진(魏晋)시기 현학(玄學)에서는 자연(自然)과 각수(名敎)의 관계를 토론하며 유도(儒道) 두 학파의 관계 설정에 골몰한다. 동진(東晋)시기의 지식인들은 바로 전대(前代)의 이러한 정신을 이어서, 직접적 방식으로 유도(儒道) 두 학파의 관계 설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펼친다. 본 논문은 동진(東晋)시기 유도(儒道)관계론의 대표적 학자로 원굉(袁宏)과 갈홍(葛洪)의 이론을 살펴본다. 원굉(袁宏)은 명교(名敎)의 효용성과 가치를 충분히 긍정하면서, 다만 명교(名敎)의 근본과 근거 찾기에 골몰하여 전대(前代) 자연(自然)과 명교(名敎)의 관계 문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동시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도본유용(道本儒用)'의 관점을 제시한다. 갈홍(葛洪)은 신선도교(神仙道敎)의 입장에서 유도(儒道) 두 학파의 관계 및 두 학파 이론의 직접적 비교를 통해 '도본유말(道本儒末)'의 이론을 정립한다. 이들의 이론은 근본과 작용, 근본과 말단의 관계 설정으로 유가와 도가 두 학파의 관계를 설정하는 동시에, 자연(自然)과 명교(名敎)의 관계 문제를 보다 심층적 방식으로 이론적 접근을 꾀함으로써, 향후 중국철학에서 유가와 도가의 상호 보완이라는 문제의식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6년도 정부재원(교육인적자원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KRF-2006-321-A00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