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e Market Segmeot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Retail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and Store Attributes

남성소비자 세분시장 분석: 의복관여와 점포이미지 속성에 따른 유통업태 선택행동 비교

  • Sung, Hee-W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성희원 (국립경상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08.12.18
  • Accepted : 2009.05.07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research purposes are (1) to identify male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ashion involvement, (2) to compare purchase intention of clothing items and store attribute evaluation at two different retail formats, department store and internet shopping mall, and (3) to compare the influence of store attributes on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at two retail formats among segment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75 male consumers through internet research institut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of fashion involvement are identified into external involvement and internal involvement. Male respondents present high mean scores on external involvement items, emphasizing social roles of clothing. Two involvement factors generate three market segments: high involvement group(32.4%), external involvement group(44%), and low involvement group(23.6%). Second, high involvement group shows higher mean scores on purchase intention of seven clothing items than low involvement group. Third, department store attributes are identified into four factors, product assortment, quality per price, service, and symbolic image, while internet shopping mall includes assortment & convenience, quality per price, and symbolic image. High involvement group again presents higher mean scores on each retail attribute factor than low involvement group. Finally, quality per price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explain the purchase intention at department store among three market segment, whereas assortment & convenience and quality per price are important predictors to increase purchase intention at internet shopping mall. However, relativ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variable is different among three involvement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2008년 소비자 쇼핑 유통 트랜드. (2008. 3. 20). 삼성패션연구소 자료검색일 2008, 7. 15,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2. 강은미, 박은주. (2003). 의류제품구매시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 의복평가기준 및 의복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7(1), 29-39
  3. 구양숙, 권현주, 이승민. (2000). 남자 대학생의 의복관여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2), 183-196
  4. 김건수, 박재옥, 이규혜, 서문숙. (2007). 남성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가치. 한국의류학회지, 31(4), 646-657 https://doi.org/10.5850/JKSCT.2007.31.4.646
  5. 김민정, 이숙희. (2004). 남성 정장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제2보);2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5), 615-625
  6. 김지현, 홍금희. (2000). 남성집단의 의욕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43-54
  7. 박성은. (2006). 의류제품의 속성에 대한 인지적 복잡성에 관한 연구 : 의복 관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4), 497-506
  8. 박은주, 표희수. (2006). 골프웨어 소비자들의 쇼핑가치가 의복선택기준과 점포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5), 545-551
  9. 손진아, 이유리. (2003). 소비자 구매의도에 근거한 백화점과 대형 할인점의 경쟁 구조. 한국의류학회지, 27(5), 570-581
  10. 신종국, 공혜경. (2005), 점포이미지가 유통업체 상표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 전국유통업체와 지역유통업체을 중심으로. 마케팅과학연구, 15(2), 49-68 https://doi.org/10.1080/12297119.2005.9707482
  11.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2005).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12. 이동대, 배상욱. (2000). 소비자의 소매점포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 할인점과 백화점의 비교. 마케팅관리연구, 5(2), 25-50
  13. 이부련. (1999). 의복관여차원에 따른 상표충성도에 관한 연구. 복식, 42(1), 231-242
  14. 이수진, 황선진,변유선. (1997). 유행관여에 따른 때션 진문점의 점포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2), 346-356
  15. 이영주, 박경애,허순잉 (2002)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점포속성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6(8), 1265-1273
  16. 이영선. (2000). 의복중요성 지각과 의복관여: 가치, 유행의사선도력 및 쇼핑행동과 관련지어. 한국의류학회지, 24(4). 549-559
  17. 이윤정. (2007)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의 동기에 관한 연구: 성역할 정체성과 의복추구혜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4), 551-562 https://doi.org/10.5850/JKSCT.2007.31.4.551
  18. 임경복. (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321-1331
  19. 전종근,이태인. (2004). 점포충성도 결정요인에 대한 온라인 -오프라인 비교: 점포이미지 변수들을 중심으로. 유통연구. 9(3), 1-20
  20. 정승환. (2006, 2. 22), 남자도 예뻐지고 싶다: 남성 액세서리몰 '북적'. 매일경제신문. 자료검색일 2007, 7, 15, 자료출처 http://news.mk.co.kr
  21. 황진숙. (2002). 의복관여가 인터넷 위험지각과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12), 49-61
  22. Review 2007, Preview 2008. (2007, 12, 4). 삼성패션연구소 자료 검색일 2007, 7. 15,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23. Blackwell, E. D., Miniard, P. W. & Engel, J. F. (2001). Consumer Behavior (9th ed.). Mason, OH: South- Wes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