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n Learning Cycle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learning cycle by their understanding of it. Surveys on their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ycle were administered to 37 seniors at th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in two colleges of education before teaching practices, and the survey for perceptions of the learning cycle was given to them after teaching practices. In addition, we selected seven pre-service teachers with decreased perceptions after teaching practices, and interviewed them thoroughly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rease of their percep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egre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ycle was not high, but their perceptions on the advantage/disadvantage of the learning cycle, their willingness to implement it, and the external aids influencing implementation were relatively positive before they practiced teaching. However, their positive perceptions more or less decreased after entering the teaching practice and the degree of decrease for those having a higher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cycle was larger than those having a lower understanding of it.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uggested the factors of pre-service teachers, students, curriculum and outside conditions as the causes of the decreas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 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조사했다. 2개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 4학년 학생 37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에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인식 검사를 실시했고, 교육실습 후에는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다. 또한,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감소한 예비교사 7명을 선정하여 인식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심층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 전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는 높지 않았으나, 순환학습의 장단점이나 실행의지, 실행과 관련된 외부요인 등의 측면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교육실습을 마친 후에는 이런 긍정적인 인식이 다소 감소했으며, 특히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던 예비교사들보다 높았던 예비교사들의 감소폭이 더 컸다. 그 원인으로 면담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예비교사 요인, 학생 요인, 교육과정 요인, 외부환경 요인을 지적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우, 김형준 (2002). 순환학습 수업 전략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열개념 학습지도 효과. 백록논총, 4(1), 91-120
  2. 강훈식, 신석진, 차정호, 한재영, 노태희 (2007).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2), 201-212 https://doi.org/10.5012/jkcs.2007.51.2.201
  3. 고한중, 구이주, 강석진 (2005).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실패에 대한 인내 수준에 따른 순환학습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260-271
  4. 곽영순 (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5. 교육과학기술부 (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과학
  6. 박지연, 이경호 (2008). 통합적 정신모형 이론에 기반한 4M 순환학습 수업모형 개발: 이론적 배경과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09-423
  7. 성태제 (2007). 현대 기술통계학의 이해와 적용.서울: 교육과학사
  8. 오선영 (2003).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역할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회지, 7(1), 69-91
  9. 위성백, 백성혜 (1997).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순환학습 모형의 적용이 과학 개념과 탐구능력 및 흥미${\cdot}$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16(1), 11-24
  10. 윤혜경 (2008).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초등과학교육, 27(2), 102-116
  11. 이용숙, 김영천 (1998). 교육에서의 질적연구: 방법과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12. 장명덕 (2006). 초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초등과학교육, 25(2), 191-205
  13.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1997). 과학과 수업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14. 정영란, 이은파 (2003). 고등학생들의 생물학습에서 개념도와 순환학습을 통합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17-626
  15. 정혜영 (2002). 미국 초등학교 신임교사의 '교사間협력(Collegiality)'에 관한 인식 연구. 초등교육연구, 15(2), 457-476
  16.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 (2008). 초등학교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17. 최영주, 김세경, 고영신 (2004). 용액 개념의 순환학습이 초등학생의 인지수준발달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3(4), 273-278
  18. 하태경,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 (2008). 과학 교과에서 학습 동기 전략을 활용한 4E&E 순환학습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27-545
  19. 한재영, 이지영, 이혜인, 노태희 (2006).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열린교육연구, 14(3), 103-117
  20. 허창수 (2007). 교육지식을 재구성하는 장으로서교육실습: 다섯 교육실습생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5(1), 95-127
  21. 황윤한 (2007). 교육대학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실천 방안. 초등교육연구, 20(1), 301-333
  22. Joyce, B., & Showers, B. (1995). Studentachievement through staff development:Fundamentals of school renewal (2nd ed.).White Plains, NY: Longman
  23. Lawson, A. E., Abraham, M. R., & Renner, J.W. (1989). A theory of instruction: Using thelearning cycle to teach science concept andthinking skills. NARST Monograph, Number one
  24. Ledford, C., & Warren, L. L. (1997). Cooperative learning: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Instructional Psychology, 24(2), 105-107
  25. Lumpe, A. T., Czerniak, C. M., & Haney, J. J.(1998). Science teacher beliefs and intentions regarding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3), 123-13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405.x
  26. Odom, A. L., & Settlage, J. Jr. (1996).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learning cycleas assessed with a two-tier test. Journal ofScience Teacher Education, 7(2), 123-142 https://doi.org/10.1007/BF00114122
  27. Veenman, S., Van Benthum, N., Bootsma,D., Van Dieren, J., & Van der Kemp, N. (2002).Cooperative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1), 87-103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52-X
  28.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9 https://doi.org/10.3102/0034654305400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