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ind Mapping Applied in Science Clas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ity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 정진희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applying mind mapping in a biology class had an effect on students' creativit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5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etest-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A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with a traditional method and an ex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using the mind-map applied method. The units "Digestion and Circulation" and "Respiration and Excretio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each group was treated for 24 class hours. To measure student creativity, the TTCT test was used. For assessing students' level of logical thinking, the compact version of GALT was used.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ANCOVA and correlation analysis by SPSS 12.0. The creativity of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ntrol group (p< .01).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of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p< .01). Student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on creativity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 or gender (p> .05)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on creativity according to their logical thinking level (p> .05), either. However, the students of logical thinking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flexibility (p< .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reativity and their achievement (p> .05), but the creativity shows a lower correlation to performance evaluation (p< .05).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8).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Ⅲ)
  2. 강호감, 김남일, 하정원 (1996). 창의력 개발을 위한 자연과 학습에서의 마인드 맵의 활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2), 293-303
  3. 강호감 (2001). 창의력 계발을 위한 자연과 교수∙학습 자료 개발, 2:개발과 적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1(1), 89-101
  4. 고원남 (2001). 마인드 맵핑이 쓰기과업에 미치는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곽서은 (2004). 뇌친화적 학습 원리를 적용한 과학수업의 효과.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석천, 정기주, 깁준태, 육근철 (2004). 완구를활용한 과학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창의력에 미치는영향. 제46차 한국과학교육교육학회 하계학술발표회및 전국과학교사 현장연구 워크숍, 117
  7. 김영신, 차희영, 김성하, 이길재, 정완호 (2002). 생물 실험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 향상 효과에 대한 생물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4), 301-308
  8. 김주훈 (1996). 영재교육 프로그램 초등학교 4~6학년 교사용 지도서 과학만들기. 한국교육개발원
  9. 동효관 (2002). 과학 영재의 특성에 기초한 수업프로그램이 유전개념 변화와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라민호 (1996). 마인드 맵 활동이 아동의 창의성에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류호천 (1999). Mind map을 활용한 자연과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과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177-184
  12. 박선주 (2005).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의 지도 효과연구 :중학교 2학년 세계사 수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성만도 (2003). 마인드 맵 활용 학습이 초등학교아동의 창의적 인지 능력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신민자 (2004). 고교 생물 실험실습의 활성화를위한 창의적 교수-학습 자료 개발. 중등교육연구, 52(2), 347-368.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15. 안승호 (1987). 교육 자료의 제시 양식이 회상량에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오희진 (2005).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문제 중심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1-8
  17. 윤덕근 (2004). 과학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과학적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물 실험 모듈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56-564
  18. 윤덕근,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 (2003). 고등학생들의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을 높이기 위한 식물색소 관련 실험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2), 181-190
  19. 윤숙현 (2004). 마인드맵(Mind Map)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지도 방안 :7학년 국어과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재연 (2006).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생태학사 활용 CPS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2006년도 국제세미나 및 제49차 동계학술대회. 한국과학교육학회
  21. 임경희 (1999). 마인드 맵 노트방법이 아동의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장기혁 (1999). 마인드맵을 이용한 쓰기 방법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장미옥 (2001). 창의적 사고와 감성적 지능의 향상을 위한 수업전략. 과학교육, 440, 66-73
  24. 정영숙, 백남권 (2001). 마인드 맵을 활용한 과학과 학습 활동이 아동의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27, 31-40
  25. 정인철 (2004). 마인드 맵을 이용한 수학 학습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43(2),139-149
  26. 채금자 (2002).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국어과 마인드맵 기법 연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병순, 허명 (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2
  28. 최영준, 이원식, 최병순 (1985). 중${\cdot}$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9
  29. 하대헌 (1999). 요약 전략으로서 마인드 맵 유형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함은숙 (2000). 마인드 맵 노트 방법이 창의력 사고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Arizona Collaborative for excellence in the preparation of teacher(ACEPT) (1997). The Collaborative for Excellence in the Preparationof Teachers(CEPT) project
  32. Buzan, T. (1989). Use both sides of yourbrain. 3rd ed. New York: Plenum
  33. Dewey, J.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Collier/Collier Macmillan
  34. Guri - Rozenbit, S. (1989). Effects of a tree diagram on student's comprehesion of main idea in an expositort text with multiple theme. Reading Reasearch Quaterly, 24(2), 236-247 https://doi.org/10.2307/747866
  35. Lawson, A. E. & Renner, J. W. (1975). Relationships of science subject matter and developmental levels of lea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2(4), 347-358 https://doi.org/10.1002/tea.3660120405
  36. Lawson A. E. & Thormpson L. D. (1998). Formal reasoning ability and misconceptions concerning genetics and natural selection. Journal of Researchin Science Teaching, 25(9), 733-746 https://doi.org/10.1002/tea.3660250904
  37. Lawson A. E. & Weser J. (1990). The effect of instruction and reasoning skil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6), 589-606 https://doi.org/10.1002/tea.3660270608
  38. Mann, T. & Brenner, L. A. (1996). Improving text memory by organizing interfering text at retrieval.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09, 5 https://doi.org/10.2307/1423393
  39. Rega, B. (1993). Fostering Creativity inAdvertising Students: Incorporating theTheorie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Integrative Learning. ED362906
  40. Richards, R. G. (1993). Learn : PlayfulTechniques To Accelerate Learning, ED379071
  41.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gking(GALT). Paper presented at the 56th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
  42. Torrance, E. P. (1963). Education and the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MN: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3. Wycoff, J. (1991). Mindmapping, (pp177-178). New Yo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