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s of Parents in Science Learning at the Everyday Science Classroom in Gwanak-gu

관악구 생활과학교실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난 부모의 역할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s of parents in science learning at the Everyday Science Classroom (ESC). Discourses of 20 parent-child dyad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oles of the parents and their significance. Data were also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that were made to survey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students of the Everyday Science Classroom (ESC) in Gwanak-gu.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played the role of Guide as well as Learner. Parents as the Guide showed roles of Process guide, Cognitive facilitator, Participation inducer, and Authoritative manager. Parents helped their children to accomplish the experiment successfully (34.5%) and offered cognitive scaffolds (21.3%) and affective scaffolds (8.7%) for children to reach a level of understanding that they could not reach by themselves. However, parents who helped their own children without considering their needs repressed children's autonomous learning (1.6%). The roles of parents as the Learner were categorized into Active learner (16.1%), Collaborative fellow learner (15.1%), and Authoritative leading learner (2.7%). The multiple roles of parents can influence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ce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roles of parent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Reflection on positive aspects of parent participation in program development will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in both parents and children.

이 연구의 목적은 관악구 생활과학교실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나는 부모의 역할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활과학교실에 참여한 부모와 아동 중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20쌍을 대상으로 총 75개의 수업을 녹음하였으며 이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과학교실에 참여하는 모든 부모와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관악구 생활과학교실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는 학습안내자로서 아동의 학습을 안내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부모 자신이 학습자로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좀더 세부적으로 범주화하면 '실험 과정 안내자', '인지적 촉진자', '참여적 환경 조성자', '권위적 조절자'로 구별할 수 있었다. 학습자로서 부모의 역할은 '적극적 학습자', '상호 협력하는 동료 학습자', '권위적인 선도 학습자'로 좀더 세분화 될 수 있었다. 이러한 7개의 범주화된 부모의 역할들이 실제 수업에서는 어느 정도로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실험 과정 안내자'가 34.5%로 가장 자주 나타났고, 뒤이어 '인지적 촉진자' (21.3%), '적극적인 학습자' (16.5%), '상호 협력하는 동료 학습자' (15.1%), '참여적 환경 조성자' (8.7%), '권위적인 선도 학습자' (2.7%), '권위적 조절자' (1.6%)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악구 생활과학교실의 과학학습에서 나타난 부모의 역할과 부모와 아동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추후 프로그램의 개발에 부모의 참여가 미치는 긍정적인 측면은 강조한다면 생활과학교실을 통한 부모들과 아동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식 (2003). 과학문화의 형성을 위한 반성과모색. 김영식, 정원(편). 한국의 과학문화- 그 현재와미래. 서울: 생각의 나무
  2.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및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 45(5), 470-480
  3.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교육학 개론.북스힐
  4.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5. 박재원, 윤상미, 원정애, 백성혜 (2007). 초등학생의 실험기구 조작 능력에 대한 실태 조사. 초등과학교육, 26(2), 161-170
  6. 박재호, 문정대, 조운복, 황수진, 이영주, 심정애, 성정희, 김영, 박종길 (1989). 관찰과 실험에서 기구의 조작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2), 29-45
  7. 성숙경, 최병순 (2007). 이질 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70-880
  8. 송선희 (2003). Vygotsky의 비계설정이론에 대한 고찰. 교육방법연구. 15(1), 71-87
  9. 송진웅, 최재혁, 김희경, 정민경, 임진영, 조숙경(2008). 국가수준의 과학문화 실태 진단을 위한 지표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316-330
  10. 신이섭 (2005). 사이언스 코리아 프로젝트의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정책, 15(2), 2-9
  11. 이지현, 남정희, 문성배 (2003).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가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66-74
  12. 임경순 (2003). 과학기술의 발전과 과학문화. 김영식, 정원(편). 한국의 과학문화- 그 현재와 미래. 생각의 나무
  13.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5). 과학교사와 동료학생에 의해 강조되는 동기적 학습 환경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성취 목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64-370
  14. 정민경 (2008). 과학문화지표(SCI)를 통한 서울시중학생의 과학문화소양 실태조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학위 논문
  15. 최성봉, 김상달, 이승민, 주국영 (2007). 고등학교과학과 수준별 수업의 적용 시기에 따른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8(3), 259-265 https://doi.org/10.5467/JKESS.2007.28.3.259
  16. 한국과학문화재단 (2007). 2007 생활과학교실 중장기 발전방안 보고서. 한국과학문화재단
  17. 한유화, 이민숙, 백성혜 (2007). 교과서 실험 종류에 따른 중3 학생들의 “일정성분비의 법칙” 에 관한 이해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50-58
  18. 허혜경 (1997).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에 기초한 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15(2), 251-274
  19. 허혜경 (1998).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에 입각한 부모교육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36(3), 83-108
  20. 현대경제연구원 (2004). 사이언스 마인드 사이언스 코리아. 서울: 은행나무
  21. Berk, L. E., & Winsler, A.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NAEYC Research and Practice Series, Vol. 7.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국역:홍용희 옮김,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 설정: Vygotsky와 유아교육' (창지사(1995)]
  22. Chang, H. P., & Lederman, N. G. (1994).The effects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 inphysical science achivement.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7
  23. Hodson, D. K. (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1(256), 33-40
  24.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Lunetta, V. M. (1998). The school sciencelaboratory History perspectives and context ofcontemporary teaching. In B. J. Fraser, & K.G. Tobi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249-262). London: KluwerAcademic Publisher
  26. Lumpe, A. T., & Staver, J. R. (1995). Peercollaboration and concept development::Learning about photosynthesis.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1), 71-89 https://doi.org/10.1002/tea.3660320108
  27. OECD (1999). Measuring student knowledgeand skills: A new framework for assessment.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assessment
  28. Sfard, A., Nesher, P., Streefland, L., Cobb, P., Mason, John. (1998). Learning Mathematics thorough Conversation: Is It as Good as They Say?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8(1), 41-51
  29. Snow, C. E. (1995). Issues in the study ofinput: Finetuning, universality, individual anddevelopmental differences, and necessarycauses. In P. Fletcher & B. MacWhinney(Eds.),The handbook of child language. Oxford:Blackwell
  30. Snow, C. P. (1959). The Two Cultures.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Solomon, J. (2003). Home-School Learningof Science: The culture of homes, and pupils'difficult border crossing. Journal of Researchin science teaching, 40(2), 219-233 https://doi.org/10.1002/tea.10073
  32. Meadows, S. (1996).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Psychology Press
  33. Steffe, L. P., & Gale. J. (1995). Constructivismin education, Hillsdale, Erlbaum
  34.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The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국역:조희숙 외 옮김, '사회속의 정신:고등심리학과정의 발달' 양서원(2000))
  35. Yerrick, F. K., Doste, E., Mugent, J. S., Parke, H., Carwley, F. E.(2003). Social interation and the use of analogy: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talk during physicsinquiry less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40(5), 443-463 https://doi.org/10.1002/tea.10084